- 9월 분양가 상한제 적용땐...취·등록세-대출이자 절감
9월 이후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고 마이너스 옵션까지 선택하면 서울의 분양가 5억원짜리 아파트의 경우 1억4000여만원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입주자가 개별적으로 시공하면 비용이 더 들어 실제 절감효과는 낮을 전망이다.17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서울의 분양가 5억1000만원짜리 34평형 아파트를 분석한 결과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될 경우 3억9100만원 선으로 23%(1억1900만원)가량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분양가가 낮아지면서 취득·등록세도 261만800원이 절감된다. 분양가의 40%(투기지역)인 중도금 대출액도 줄어 대출 이자(연 6.5%, 공사기간 27개월, 입주시 상환 가정) 역시 2155만원에서 1652만원으로 줄어든다.따라서 입주 때까지 필요한 비용은 현재 분양가 수준에서 5억4277만원이 들지만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되면 4억1612만2000원으로 1억2664만8000원(분양가 대비 23%)을 절약할 수 있다.여기에 마이너스 옵션을 선택하면 어떻게 될까. 업계는 마이너스 옵션 비용이 분양가의 5∼10% 정도 차지할 것으로 본다. 5%로 가정한다고 해도 위 사례의 경우 분양가가 3억7145만원으로 떨어진다. 여기에 취득·등록세 817만1900원과 대출 이자 1570만원을 합하면 총 투입비용은 3억9532만1900원으로 1억4744만8000원을 줄일 수 있다. 현 분양가 대비 절감폭이 27%로 늘어나는 셈이다.◆마감재 수준이 관건하지만 문제는 마감재의 질. 업계는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되면 아파트 마감 수준이 지금보다 떨어질 것으로 우려한다. 특히 마이너스 옵션을 선택해 개별적으로 시공할 경우 건설사가 자재를 구매할 때보다 비용이 10∼20%는 더 들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또 정부는 마이너스 옵션제를 선택해 분양가 인하를 받거나 아니면 기본형(풀옵션)으로 하거나 둘 중의 하나만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주예정자들의 선택의 폭이 너무 좁고, 분양가 인하 효과가 크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