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새 이동시기 등 조류충돌 취약시기에 예방활동 강화 예정
국토해양부는 ‘10년도 항공기-조류 충돌건수가 ’09년 보다 약10% 감소한 119건이라고 발표하고, 다른 국가에 비해 국내공항의 조류관리 상태가 양호하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항공기-조류충돌현황을 종합분석해보면 최근 5년간 총 434건 발생하였으며, 매년 운항횟수 증가에따라 충돌건수도 증가하였으나, 조류퇴치 인원증원 등 조류충돌 예방활동을 강화하여 충돌건수를 감소시켰고, 항행 중이거나, 발생 장소를 알 수 없는 사례를 제외한 공항 구역 내 발생건수는 총 320건이며, 주요 공항별로는 김포공항 83건, 제주공항 73건, 인천공항38건, 김해공항 35건 등이며, 발생시기는 10월이 가장 많고, 8~12월 사이에 발생하는 비율이 60%로 연중 하반기에 집중 발생하고 있으며, 시간대별로는 일출, 일몰 전후인 09:00~12:00, 18:00~21:00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항공기에 물적 피해를 일으킨 조류충돌은 5년간 총 19건이며, 약 454만불의 재산피해를 발생시켰으며, 조류 종별 충돌현황 분석결과 텃새 52건, 철새 32건으로 텃새의 충돌 비율이 높으나, 실제 피해는 덩치가 큰 철새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토해양부는 공항운영자가 적극적으로 조류충돌 예방활동을 하고 있으나 타 공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생빈도가 높은 김포.제주공항을 ‘11년도 “조류퇴치 특별관리대상 공항”으로 지정 관리하여 조류충돌을 최소화 시킬 예정이며,철새이동시기 등 조류충돌 취약시기에 예방활동을 강화하고, 공항인근에서 지자체의 철새먹이주기 사업을 제지하는 등 “공항외부지역”의 관리를 강화함으로서 공항으로의 조류유입을 차단할 계획이다.
또한, 국토해양부는 앞으로도 항공사 등 관계기관과의 협조체계를 강화 신뢰성있는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조류충돌 예방대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