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한 약초생산 기반마련 500ha 1000톤 목표
제천시는 한방산업의 기반 구축을 위해 중부권 한약재의 생산·유통·가공 중심지로 육성하여 제천산 한약재가 대한민국을 대표할 수 있도록 우수한약재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제천시는 지난 2006년부터 우수한약제(GAP)생산사업을 시작해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으며 앞으로 재배면적을 현재 240ha로 확대하고 생산량도 500톤에서 1,000톤으로 늘려 중부권 우수한약재 생산유통의 중심지로 정착시켜나갈 계획이다.
시는 지난 2006년부터 제천한방산업육성과 중부권우수한약재 생산기지로 정착하기 위해 한약재에 대한 우수농산물 관리제도를 도입하여 GAP인 증품목 34 품목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처음 2006년에 25ha에서 황기32.7톤을 생산하였으며 2007년에는 55ha에서 53.1톤을 생산했고 2008년에는 황기 외 8품목 121ha에서 221톤의 한약재를 생산하는 등 점점 늘려나갔다.
또 2009년에는 황기 외 11개 품목 168ha에서 551톤의 한약재를 생산했으며 금년에도 황기 등 10개품목을 240ha에 재배하여 년간 500톤(100억) 규모의 약초농가에 대한 약정된 소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08년부터는 한국인삼공사와 MOU를 체결하여 2010년까지 황기를 비롯한 6개 품목307톤을 납품하여 50억원의 농가소득을 올렸고 금년에도 200톤 50억원의 게약납품을 목표로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한국인삼공사에 납품하기 위해서는 우수적으로 우수한약재 인증기관으로부터 GAP인증을 받아야 하며 안정성 확보를 위해 인삼공사 자체의 112종에 대한 잔류농약분석에 합격 해야만 한다.
따라서 약초생산농가에서는 안전한 한약재를 생산하기 위해 친환경농업을 실천하여 안전한 한약재 생산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일반한약재를 비롯한 기능성약용수목을 포함하여 약초재배면적을 2015년까지 1,000ha로 확대해 나갈 계획으로 한방특화도시로의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중부내륙중심권 한약재 가공유통의 중심지로 발전하기 위해 강원 영월, 평창, 경북영주, 봉화, 인근 단양 등지에서 생산되는 우수한약재가 제천시 소재 약초 농산물우수관리시설에서 가공할시 가공비용의 60%를 지원해 주는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인증기관에서는 안전한 한약재를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키기 위해 생산토양에 대한 중금속검사와 생산중금속검사, 생산물 잔퓨농약검사를 필히 실시하고, 농산물품질위관리원에서는 영농일지기록과 이력추천관리등록으로 소비자들에게 생산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고 있다.
제천시의 한방산업에 대한 장기 계획으로는 우수한약재 생산과 약초생산기반 확충을 바탕으로 한방약초의 생산기반을 공공히 함은 물론 생산된 우수한약재를 이용한 상품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우선 1차 산업으로 가공제품과 상품을 다량 개발하고 3차 산업으로 가공된 가공품과 제품을 기업화로 전환하여 제2바이오밸리 산업단지가 한방의 중심메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방건강도시, 성공경제도시 건설을 이루어나갈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