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새롭게 추진하는 2000년 고도 이미지 구축사업의 일환인 한성백제박물관 건립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2010년 10월 건축공사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전시물 제작.설치 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한성백제박물관은 2000여년전(BC18년) 한성백제의 수도로서 유구한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서울의 역사문화를 종합적으로 전시.조사.관리.연구.교육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다.
서울 인근의 선사.고대유적과 연계한 관광자원과 문화기반시설 구축을 목표로 추진중인 한성백제박물관은 몽촌역사관, 올림픽 기념관, 소마미술관과 더불어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관광명소가 될 것이다.
한성백제박물관의 외관은 백제왕성으로서 떡시루 같은 판축기법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풍납토성의 역사성과 해양국가 백제를 상징하는 배모양 이미지가 투영된 컨셉으로 올림픽공원 남2문 근처에 지하3층, 지상 2층 규모의 자연친화적 건물로 시공되었다.
특히, 수장고는 2,640㎡ 규모의 복층구조로서 국립중앙박물관을 제외하고선 전국 최고의 수장능력을 자랑한다.
현재 실시설계 중인 전시물 제작.설치의 전시방향은 단순 나열식 전시가 아닌 통합적.총체적인 전시 컨셉트로 구성될 예정이며, 유적의 복원, 3.4차원의 IT, 파노라마, 디오라마, 스토리텔링, 시간과 공간의 비교전시를 통한 공간적.시대적 문화의 토탈컬쳐를 보여주려는데 역점을 두었다.
김기섭 한성백제박물관 전시기획팀장은 박물관 건립은 “잃어버린 역사의 혼을 조사.발굴.복원하고 이를 교육.소통하여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의 숨은 의미를 되살리는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한성백제 493년간의 문화사(BC18~AD 475)를 담아 둘 한성백제박물관은 전시대상 유물이 대부분 국.공립박물관 소장품으로 유물과 유적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지만, 관련기관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하여 시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사랑받는 명품박물관으로 길이 남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전시유물 확보에 한층 공을 들이고 있는데, 최근 공주 수촌리 출토 관동관모 및 금동신발 등 440여점의 복제추진과 서울역사박물관 소장유물 900점 이관 협의, 개인 소장가의 유물기증 모색 등 명품 컬렉션으로 2000년 고도 서울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전문박물관의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
다만, 한성백제기의 유물확보에 한계가 있는 만큼 개인소장가의 적극적인 관심과 기증으로 2000년 고도의 찬란한 문화를 온 시민이 함께 공유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성백제박물관건립추진단에서는 박물관 건립목적에 부합하는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연구용역을 완료하고, 전시.교육.소장품 프로그램 및 유물발굴 조사.연구와 마케팅 및 홍보프로그램, 효율적인 조직운영 및 박물관 지원기구 운영 등 활용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특히, 서울이 2000여 년 전 한강유역에 도읍하였던 한성백제의 수도였던 유구한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역사.문화도시였음을 널리 알리기 위해, 홍보대사 위촉, 박물관의 교육부서와 학교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구성(뮤지엄 티쳐 운영) 등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성백제박물관건립추진단은 2010년 12월 29일 을지로 청사에서 송파구 올림픽공원 내 박물관 건물로 사무실을 이전하고 개관 준비체제에 본격 돌입한다.
개관은 전시물 제작.설치와 전시유물 확보가 완료되는 대로 오는 2011.12월 예비개관을 거쳐 2012. 4월 본격 개관할 예정이며 도서관, 카페 등 편의시설은 개관 전이라도 개방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