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6년부터 현재까지 공개되고 있는 자료, 최대 일년치 통계 한 눈에 볼 수 있어
서울시는 그동안 개별 단위로 제공하고 있는 주택 거래건수를 통계유형으로도 검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23일부터 시민들에게 제공 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9월 1일부터 아파트, 다세대/연립, 단독/다가구의 매매된 실거래가격을 11월 10일부터는 전.월세 확정일자 신고가격을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사이트를 개설한 이후 현재 1일평균 2만 건 이상 조회수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추가해 달라는 많은 의견이 있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행정구역별, 기간별 자료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개발해 제공하게 됐다고 시는 밝혔다.
통계는 2006년부터 현재까지 공개되고 있는 자료를 한 달 단위로 최대 일년치까지 설정해 볼 수 있으며, 아파트, 다세대/연립, 단독/다가구로 나눠 검색하고 싶은 자치구를 별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06년 종로구의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을 알고 싶다면, 계약일과 신고일중 한 가지를 선택하고, 기간을 2006년 1월~12월로 설정, 종로구를 설정 검색하면 해당 자료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단, 주택 실거래가와 전.월세가는 합쳐서 볼 수는 없고 주택 실거래가와 전.월세가로 나눠서 통계를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는 사이트에서 공개되고 있는 부동산 실거래자료 중 지분거래, 통상적이지 않는 거래 등 특수한 거래유형과 신고자료의 오류 및 중복 신고된 자료와 주택 전.월세자료 중 등기소에 신고한 확정일자 자료, 통상적으로 거래되고 있는 시장가격 형성에 침해가 되는 가격, 신고자료의 오류 및 중복 신고된 자료 등은 공개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어, 전체 실거래 된 건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며 제공되는 통계자료는 참고자료로만 활용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현재 실거래가 공식통계는 국토해양부에서 매월 ‘부동산거래동향’으로 발표하고 있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부동산 안정을 위해 시민들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개발하고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