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개 등급 매겨 차등 적용...소형 프라이드 신·구형 달라
다음달부터 자동차보험료 가운데 자기차량 손해보상 보험료(자차보험료)가 차량 모델에 따라 최고 20%까지 차이가 나게 된다.같은 소형차라도 뉴프라이드와 아반떼 신형 등은 자차보험료가 가장 비싸고 프라이드는 가장 싸지게 된다는 얘기다. 6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개발원은 차량 모델별로 자차 보험료를 차등화하기 위해 모델별로 과거 3년간 손해율(수입 보험료 대비 보험금 지급 비율)을 반영한 등급을 매겨 손해보험사에 제시했다. 이 등급에 따라 손보사들은 모델별로 자차 보험료를 ±10% 이내에서 차등 적용한다. 최대 11개 등급으로 나눠 6등급은 현재 자차 보험료 수준인 기본 요율이 적용되며 1등급은 최고 10% 할증되고 11등급은 최고 10% 할인된다. 대다수 손보사들은 4월 1일 신규 가입자와 계약 갱신자부터 모델별로 보험료를 차등화하며 온라인 보험사는 4월 중순 이후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지난해 차량 1대당 자동차 보험료가 평균 63만2000원이고 이 중 자차 보험료가 약 15만8000원인 점을 감안할 때 평균적으로 자차 보험료가 모델에 따라 3만1600원까지 차이가 나고 그 격차는 대형차, 외제차처럼 차 값이 비쌀수록 더 벌어지게 된다. 소형B 차종에서는 뉴리오와 뉴프라이드, 뉴SM3, 아반떼 신형, 칼로스가 1등급으로 분류돼 자차 보험료가 가장 비싸지는 반면 프라이드는 11등급으로 가장 싸진다. 중형차 중에서는 뉴그랜저와 뉴크레도스, 뉴프린스, 엑티언, 엘란, 투스카니 등이 1등급이며 11등급은 없고 EF쏘나타가 10등급으로 분류됐다. ◆외제차 대부분 1∼5등급 대형 차종에서는 SM7과 엔터프라이즈, 뉴체어맨이 1등급이며 갤로퍼와 갤러퍼Ⅱ는 11등급이다. 다인승 차량은 배기량에 관계없이 뉴렉스턴과 뉴카렌스, 레조, 카이런 등이 1등급이며 싼타페 등이 11등급이다. 외제 승용차는 모델과 배기량에 관계없이 대부분 1∼5등급으로 분류됐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