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역시 최초 ‘전자정부 정보보호관리체계’(G-ISMS) 인증 획득, 사이버 안전 확보
서울시는 광역시 중 처음으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전자정부 정보보호관리체계’(G-ISMS) 인증을 획득했다고 1일 밝혔다.
G-ISMS(Government-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인증제도는 2009년 12월 행정안전부의 ‘전자정부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업무 지침’에 따라 지자체에 대해 정보보호 관리과정, 문서화, 정보보호 대책 등 정보보호체계가 적절하게 수립.관리되고 있는지를 평가하여 인증하는 제도이다.
서울시는 2009년 12월 G-ISMS 시범인증 대상기관으로 선정된 뒤, 2010년 4월 인증심사 신청 후 서면.기술 심사를 거쳐 2010년 12월 1일 인증을 획득 하였다.
서울시는 정보보호 관리체계 수립 및 관리 과정 4개 분야, 문서화 3개 분야, 정보보호대책 11개 분야 등 약 18개 분야 406개 항목에 대한 심사를 거쳐 인증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인증 획득과 관련해 한국정보화진흥원으로부터 행정정보의 안전한 유통, 시민의 안전한 홈페이지 이용, 사이버침해 사고예방 및 효과적인 대응을 위하여 『u-통합보안센터』를 구축하고 센터의 정보자산 보호 및 임직원의 정보보호 인식제고를 위해 정보보호관리체계를 수립?운영하는 서울시의 책임자와 실무담당자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였다.
광역시 최초로 G-ISMS 인증을 획득하게 된 것은 2003년부터 정보보호에 대한 선도적 관심과 투자로 체계적인 정보보호체계가 이루어졌으며 2009년 1월부터 서울시 및 자치구에 대한 광역 보안관제 체제 가동을 시작하여 2010년 3월부터 24시간 광역 보안관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보안관제 운영은 자동화 시스템으로 보안 이벤트 탐지와 분석을 수행하고 자동화 탐지가 되지 않는 부분은 전문가를 배치하여 실시간 대응 체계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광역 지자체로는 최초로 시 본청 조직내에 정보보호정책팀, 개인정보보호팀, 통합보안관제팀을 구성하여 정보보호 전분야에 대한 빈틈없는 정보보호체계를 구축한데 대한 성과를 인정한 것이기도 하다.
서울시는 G-ISMS 인증 획득을 바탕으로 2012년 완공 예정인 상암동 IT 콤플렉스내『u-통합보안센터』를 구축하여 기존 모니터링위주의 보안센터 개념을 탈피하여 명실상부한 종합정보보안 대응능력을 갖춘 전국 최초의 종합보안센터를 설치 운영할 예정이며, 앞으로 선진국 수준에 맞는 정보보호예산을 확보하여 보안분야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확대하여 안전한 사이버 세상 구현에 앞장 설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