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6일 김관진 전 합참의장을 새 국방부 장관 후보자로 발표하면서 주요 인선 배경으로 ‘개혁성과 추진력’, ‘군 안팎의 신망’을 강조했다.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 엄중한 상황을 제대로 헤쳐나갈 수 있는 인물이 누구냐가 핵심 포인트였다”며 “많은 후보들을 검토한 결과 김 후보자가 군 내외 평판도 좋고 경력과 식견, 리더십이 지금 위기상황에서 적임이라는 판단을 내렸다”고 말했다.
실제로 군 내부에서도 김 후보자 내정 소식에 “능력 있고 괜찮은 사람”이라는 반응들이 나왔다. 김 후보자는 대대장, 연대장, 사단장, 군단장, 군사령관 등 군 정통 지휘관 코스를 거쳤고, 육군본부와 합참 등에서 정책을 다뤘으며, 김영삼 정부 때에는 청와대 파견 근무도 했다.
김 후보자는 다음달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정식 임명되고 나면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 대응에 허점을 드러낸 군 기강을 바로잡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국방개혁선진화추진위원회에서 확정한 69개 국방개혁 과제를 추진하는 것도 그의 몫이다.
김 후보자는 이날 청와대 예비인사청문회에서 “군에 대한 정신교육이 필요하고, 북한이 도발해오면 어떤 경우에도 강력히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그는 연평도 포격 이후 벌어진 ‘확전 자제’ 논란과 관련해 “국지전이 휴전선 전체나 서울에까지 확대되는 전면전으로 비화하는 것을 막는다는 개념을 ‘확전 방지’로 여긴다”며 “군에서 확전을 방지해야 한다는 의미는 국지전에서의 타격 강도를 줄이라는 의미가 결코 아니다”라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