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소형 평형 아파트값 상승률이 중대형 평형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송파·분당 등 인기지역에서 이 같은 현상이 두드러졌다. 정부의 잇따른 아파트 담보대출 규제와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강화의 영향으로 분석된다.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는 지난 1월 6일부터 2월 24일까지 서울지역 일반 아파트(재건축 대상 제외) 매매가 상승률을 조사했다. 그 결과 20평형 미만이 1.12%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다. 이에 반해 40평형대(0.39%)와 50평형 이상(0.22%) 등 중대형은 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또 20평형대가 0.94%, 30평형대가 0.62%를 기록하는 등 평수와 상승률은 반비례했다. 특히 강남구의 경우 20평형대 미만이 1.68% 오른 반면 30, 40평형대는 각각 0.1%, 0.03% 오르는데 그쳤고, 50평형 이상은 0.02% 떨어졌다. 지난해 같은 기간 50평형 이상이 2.07%, 40평형대가 1.73% 오르며, 30평형대(1.5%), 20평형대(1.16%), 20평형 미만(0.99%)에 비해 상승폭이 컸던 것과 대비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이 대출 규제와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강화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주택 구매자들이 값비싼 중대형 대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대출 부담이 덜한 소형 평형에 눈을 돌린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형 평형의 인기가 계속될지는 미지수다.◆“일시적 현상에 그칠 듯”스피드뱅크 김은경 팀장은 “그동안 6억원 초과 주택에 대출 규제가 집중되면서 집값이 많이 오른 중대형 평형 수요자들은 관망하고, 강북의 소형 위주로 거래가 이뤄지면서 소형 가격이 상대적인 강세를 보인 것 같다”며 “하지만 재건축 소형 평형 의무비율이 그대로이고, 중대형에 대한 선호도도 여전히 크기 때문에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