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군, 59년 만에 故 사상열 소위(정훈 3기) 유족 찾아 화랑무공훈장 전수
육군은 25일 서울 전쟁기념관에서 정훈공보실장 주관으로 6?25전쟁에 참전해 전사한 故 사상열(史相烈) 소위(정훈 3기) 유족에게 화랑무공훈장을 전달하는 뜻 깊은 행사를 가졌다.이날 무공훈장 전수식에는 당시 정훈 3기(110명)로 함께 임관해 현재 생존해 있는 동기생 5명과 정훈동우회원 등 100여 명이 참석해 그 의미를 더했다.
故 사상열 소위는 6?25전쟁이 발발한 후 ’50.11.27일 임관, 5사단 36연대 작전과에 보직되어 격전의 현장을 누비면서 맡은바 임무를 수행하던 중 ’51.5.17일 홍천북방지역전투에서 안타깝게도 전사했다. 당시 故 사상열 소위는 정훈장교로서 투철한 사명의식을 바탕으로 장병들의 필승의 전투의지 고양 및 사기진작, 선무활동을 주도적으로 전개하고 전투에 직접 참가해 혁혁한 전공을 세워 화랑무공훈장을 3개씩이나 받았었다.
육군은 그동안 ‘6·25 참전 무공수훈자 훈장 찾아주기’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故 사상열 소위의 유족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었다.
그러던 중 故 사상열 소위의 동기생인 백재수(83세, ’55.10월 대위 예편)씨의 헌신적인 노력과 열정으로 59년 만에 故 사상열 소위의 유족을 극적으로 찾게 됐다.
故 사상열 소위와 5사단에 함께 배치되어 인접연대에서 정훈장교와 소대장의 임무를 수행한 백재수씨는 홍천지역전투가 한창이던 ’51년 5월 중순경, 모 중사가 흰색 천(영현백)으로 둘러싼 시신을 메고 산 밑으로 내려오는 것을 목격하고 신원을 확인해 보니 다름 아닌 동기생인 故 사상열 소위의 시신임을 알게 되었고, 당시 36연대의 임시 영안소가 설치되어 있었던 원통까지 따라가 故 사상열 소위의 떠나가는 마지막 모습을 지켜본 전우이기도 하다.
이후 백재수씨는 전역 후 1970년대 초에 이르러 너무도 그리워했던 故 사상열 소위의 유족을 만나보기 위해 당시 유족의 거주지로 알고 있었던 남산동을 찾아가 그 일대를 수소문했으나 故 사상열 소위의 유족을 찾을 수 없었다.
백재수씨는 2004년에 육군본부에 의뢰해 자신의 병적기록을 확인하던 중 당시 故 사상열 소위의 군번을 알고 있어 혹시나 하는 마음에 유족의 주소지를 묻던 차 故 사상열 소위가 3개의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는 사실을 전해 들었다. 그러나 그것만 가지고서는 유족을 찾기에 역부족이었다.
이후 백재수씨는 2010년 6?25 60주년 사업단이 육군본부에 설치된 사실을 모 신문기사를 보고 알게 되었고, 이번이 故 사상열 소위 유족을 찾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심정으로 끈질기게 추적하게 되었다. 육군본부 정훈공보실의 도움을 받아 故 사상열 소위의 훈장 기록을 확인한 다음 국가보훈처, 현충원 등에 의뢰하고 사(史) 씨 종친회를 통하는 등 백방으로 수소문했다.
백(白) 씨는 ‘전국 성씨 총람’에서 사 씨 기록을 확인, 사 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는 파주를 찾아가 사 씨 총친회 사제학씨를 만나 故 사상열 소위와 관련된 훈장기록을 보여주고 확인해 줄 것을 요청했다.
동기생의 오랜 간절한 바람이 결실을 맺는 순간이 찾아왔다. 사 씨 족보에 故 사상열 소위 기록이 명확하게 남아있다는 사실을 전해 듣게 되었고 동기생의 유족이 사승환(50세, 경기 군포 거주)씨라는 사실도 알게 된 것이다.
백재수는 동기생의 유족을 찾은 후 “이젠 눈감고 죽어도 동기생에게 더 이상 부끄럽지 않을 것 같다.”며 “59년 만에 동기생의 유족을 찾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명예스러운 무공훈장이 주인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게 돼 감개무량하다.”고 말했다.
이날 故 사상열 소위의 유족인 사승환씨는 “그동안 선친께서 무공훈장을 받았다는 사실을 정말 알지 못했다.”며 “아버지의 영전에 훈장을 바칠 수 있어 무척 기쁘고 끝까지 기억해 준 군에 감사하다.”고 말했다.
한편, 백재수씨는 ’51.4월 최일선에서 적 투항을 권고하는 대북방송을 하던 차에 적 2명이 투항해와 그 공로를 인정받아 훈장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지만, 어려운 여건에서도 방송용 선로를 구성해 준 당시 통신 하사관에게 훈장을 양보한 것으로 전해져 또 다른 감동을 안겨줬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