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 민간 부문 융자지원책 일환
서울시가 지난 9월 국토해양부 고시로 지정된 ‘서울시 소재 건물분야 온실가스.에너지 관리업체 23개소’에 대한 특별융자지원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융자지원은 서울시가 친환경시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의 민간부문 융자지원책의 일환으로, 대형건물의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기존 융자지원 기준을 일부 완화해 지원하는 것이다.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BRP, Building Retrofit Project)이란 건물의 에너지 손실과 비효율적 요인을 개선하기 위해 시설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 및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사업이다.
서울시는 2007년 10월 전국 최초로 ‘서울시 기후변화기금의 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를 마련하고, 매년 300억원의 민간 건물 기후변화기금 융자지원을 통해 시설을 개선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반면 이번 특별융자지원 대상인 온실가스.에너지 관리업체 23개소는 최대 20억원에 한해 총 사업비 100%까지 융자를 지원하며, 건물 에너지 절약시설을 1개 이상만 설치해도 융자를 받을 수 있다. 단 온실가스.에너지 관리업체 감축목표 이행계획과 실적을 제출해야 한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 2008년부터 3년간 총 264억원의 융자를 지원, 총150개소의 민간 건물이 건물에너지합리화사업에 참여했다. 대형건물 및 건물 단열 위주 참여에서 벗어나 양적.질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른 에너지 절감량은 매년 11,497 TOE(Ton of Equivalent, 석유환산톤으로 석유 1톤을 연소시켜 나오는 열량), 온실가스 23,969 CO2톤, 전기 29억원, 도시가스 39억원의 에너지 사용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울시는 지난해 5월 개최된 제3차 C40 서울정상회의에서 BRP ‘Leading City’로 평가되고, 지난해 12월에는 지식경제부에서 ‘전력수요관리사업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다.
서울시는 2011년부터 대형건물 등 상업용 건물에서 단독주택 등 소형 건물까지 융자 지원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김영성 서울시 환경정책과장은 “앞으로 단독주택 등 소형 건물까지 융자 지원대상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 9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소형건축물 표준 에너지절감방안 모델정립 및 BRP 연계방안 개발 기술용역을 의뢰했으며, 그 결과에 따라 2011년 융자 지원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