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군이 추진한 경제 활력 회복을 위한 군민 제안 및 아이디어 공모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재래시장 활성화를 통한 지역사회 수요증진 방안"이 눈길을 끌고 있다.
단양군 상진리 서정원 씨가 제출한 이 제안은 기발한 발상이나 현실적 적용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군에서는 재래시장을 담당하는 부서를 통해 정책 적용 여부를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논문 형식을 취하고 있는 12쪽 분량의 서 씨의 제안은 단양 재래시장의"현 실태파악-문제점 도출- 해결 및 발전 방안 모색 을 순서로 해서 풀어나가고 있다.
단양에는 단양,매포, 영춘의 2개 시장이 있고, 단양시장은 중형, 매포와 영춘 시장은 점포100개 미만의 소형시장으로 분류되며, 단양시장의 경우 점포수 159개 상인수 295명, 매포시장은 점포수65개 상인수109명, 영춘시장은 점포수71개 상인수80명 등으로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며 현실태를 점검하고 있다.
또 제안서는 단양군 내 재래시장의 문제점으로 다섯 가지를 지적하고 있는데, 시설. 환경적 측면에서 주차시설 부족, 화장실, 음수대 등 편의시설 부족, 통행불편. 친절관리 미흡등의 환경문제를 지적하였고,운영관리 측면에서는 현대적 결재 시스템 미비, 마케팅 부족 등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문제점 해결 및 발전방안에 대해서는 두 개의 큰 제목으로 나누어 세세한 절감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부분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먼저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기본적 편의시설 제공과 쉼터 제공,탐색비용 절감을 위한 시스템 도입, 지역적 특색을 살린 재래시장 문화확립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구체적 사례를 통한 6가지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로 특색있는 시장으로의 전환을 위해 매주 토요일 관광객을 위한 토요 관광시장을 열어 보자며 주요 특색을 통한 민속시장 개최를 주문하였다.
둘째로 시장 마케팅 활성화를 위해 지역 우수상품 및 특상품 판매 전시회를 열어보자며 마늘시장을 활용한 전시회를 주문했다.
셋째로 시장의 이용객 눈으로 편리하게 시설물을 고쳐보자며 공용화장실, 보육시설 등의설치를 주문하고 있다.
넷째로 재래시장 상공인의 영세성 극복을 위해 상품을 집안까지 배달해주는 방안을 강구해보자며 공동배송센터 도입을 주문했다.
다섯째로 재래시장에 문화를 도입해보자며 어상천수박축제 등과 같은 지역 축제를 재래시장에서 개최해 볼 것을 강력 주문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래의고객, 젊은 이들을 재래시장으로 불러들이자며 젊은층이 선호하는 브랜드 상설매장유치를 권하였다.
서 씨의 제안을 모두 수용할 수는 없을 지라도 재래시장에서의 축제 개최 등과 같은 몇 가지 제안은 당장이라도 실행이 가능하고 파급을 불러올 것들이어서 주목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