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가 벌어지는 것과 관련해 대기업에도 일부 책임이 있다며 중소기업과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대기업 회장들에게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13일 오전 청와대에서 가진 12대 그룹 총수들과의 조찬 간담회에서 "지금 우리사회가 잘 되는데 서민 생활이 개선되지 않고 대기업 중소기업 격차가 벌어지는 게 잘 사는 사람 때문이고 대기업 때문에 중소기업 안되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사회의 격차가 벌어지면 사회가 갈등이 심해지고 기업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고 열심히 해서 돈 버는 것도 자기들만 살려고 한다는 생각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하고 "이 시점에서 상대를 살피고 힘있는 사람 가진 쪽에서 따뜻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대기업 중소기업 상생방안과 관련해 "대기업 중소기업 동반성장을 강제로 규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며 "인식을 바꿔 기업문화를 바꿔보자"고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대기업이)잘하고 있지만 기업문화를 보다 전향적으로 생각하면 결국 대기업의 이미지를 좋게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와함께, "요즘 우리사회가 불공정이 많다, 외교부 특채 뽑는데 문제도 있었지만 여러 곳의 불평등을 바꿔보자"고 말했다.
이어 "경제는 잘해서 올라가고 있지만 법질서도 이렇게 안 지켜지는데 어떻게 일류국가가 되겠나"라고 반문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공정사회가 사정과 연결되는 거 아니냐 하는데 나는 그런 생각 추호도 않는다"며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 본인이 공정사회에 맞지 않기 때문에 그런 말을 하는 거다"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관계도 공정한 사회에 걸맞느냐 공정한 거래냐 한번 생각해봐야한다는 의미"라며 "우리가 한번쯤 오랫동안의 관행을 검토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서는 "일자리 창출이 대기업만 가지고는 좋은 일자리는 만들 수 있겠지만 많은 일자리는 만들 수 없다"고 전제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을 통해 중소기업이 동반성장함으로써 중소기업이 일자리를 창출하게 하자"고 제안했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대기업과 중소 협력업체가 함께 성장하는 것은 대기업을 위해서 뿐 아니라 시장경제와 자본주의를 건전하게 발전시키는데도 필요한 일"이라며 "대기업이 일류가 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먼저 일류가 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어 "이런 생각을 가지고 지난 30년동안 협력업체를 챙겨왔는데 협력업체 단계가 2차 3차로 복잡해지면서 어려운 점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앞으로 2차 3차 협력업체까지 포함해 좀 더 무겁게 생각하고 세밀하게 챙겨서 동반성장을 위한 제도나 인프라를 만들어 나가고 투자와 고용을 확대하고 우리사회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는 데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