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들의 부채가 소득보다 빠르게 늘고 있다. 특히 저소득층의 경우 부채가 자산보다 최대 8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이 고소득층의 2배를 넘어, 경제적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상반기 가계대출 잔액 711조6천억 원이다. 이는 지난 1년 동안 처분 가능한 총소득 천 117조 천억 원의 64%이다. 지난 2003년 상반기 말에 비교하면 10%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2003년 이후 소득 대비 가계 대출 잔액이 꾸준히 늘어 올 상반기 64%에 이른 것이다.
물론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대출 금액이 증가하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이다. 그러나 국민 전체의 처분가능소득보다 가계 대출금의 증가 속도가 더 빠른 것이 문제이다.
특히 소득 증가는 주로 고소득층의 차지여서 저소득층의 소득 대비 부채 부담은 더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처분가능소득의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지난 96년 0.298에서 지난해 0.350으로 커졌다.
이런 가운데 자산 대비 부채의 비율은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노동 패널 조사에 따르면 소득이 가장 낮은 층, 즉 1분위의 자산 대비 부재 비율이 6.6배, 그 다음 층, 2분위가 7.96배였다.
가장 소득이 많은 5분위의 경우 이 비율이 3배인 점을 감안하면, 저소득층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고소득층의 두 배를 넘는 셈이다. 우리 사회의 양극화 현상을 잘 보여주는 예인 셈이다.
게다가 주택이 없는 1, 2분위는 이 배율이 14.45배와 21.61배나 됐다. 소득이 낮으면 대출 금리는 높게 매겨질 가능성이 커 이자까지 계산한 부채 부담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무주택 서민의 경우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로 빚을 더 내게 되면 소득과 자산은 제자리인 상태에서 빚이 늘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