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버블 붕괴위험 대비...이자 가구소득 10%이하로
지난해 가계대출이 40조원을 돌파한 가운데 이제 본격적인 부채관리에 돌입해야 할 시점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1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의 가계 대출 증가액은 40조9000억원으로 2002년 61조6000억원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계대출이 급증한 것은 지난해 부동산 광풍이 불면서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늘었기 때문. 지난해 주택담보대출은 26조8000억원이나 늘어 2002년 45조5000억원 이후 증가폭이 가장 컸다. 하지만 담보 부동산의 가치 상승으로 인해 가계부채 증가에 대한 민감성은 둔화해 온 것이 사실. 삼성증권 김태훈 연구원이 10일 보고서를 통해 부채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유다. 늘어난 가계부채가 가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 연구원은 “대출금리의 급등과 담보가치의 하락은 이자비용 상승과 상환압력으로 이어져 소비위축은 물론 또 다른 가계부채를 유발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사상 유례없는 저금리와 부동산담보대출 급증에 따른 가계부채의 증가에 이은 부동산 버블 논쟁 등 현재 상황이 1980년대 일본이 겪은 10년의 장기 불황으로 접어든 시기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다.◆투자형 상환계획도 방법현 시점에서 부채 관리를 위해선 우선 가계부채 규모와 그에 따른 이자비용이 소득수준에서 차지하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김 연구원은 “소득 대비 필수 소비지출을 감안해 이자비용의 비중은 가구소득의 1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이자비용 절감 및 투자수익을 고려한 상환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원리금 균등상환 대신 대출이자만 내고 차액을 적립식 투자상품에 투자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형 상환계획’을 수립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는 설명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