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군사령부와 북한이 천안함 사건을 다룰 회담 개최를 위해 13일 오전 판문점에서 영관급 실무접촉을 갖는다.
이날 양측의 만남은 지난해 3월6일 이후 1년 4개월여 만이며 천안함 사건 이후 처음 이뤄지는 것으로,천안함 문제를 다룰 장성급 회담을 개최하기에 앞서 영관급 실무접촉을 갖자는 유엔사의 제안을 북측이 수용하면서 성사됐다.
이날 만남에서 양측은 장성급 회담 개최를 위한 일정과 안건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사는 실무접촉에 이어 장성급 회담이 열리면 민군 합동조사단의 천안함 조사결과를 북측에 설명하고 천안함 공격이 명백한 정전협정 위반임을 지적할 방침이다.
유엔사는 특히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임을 강조하고 사과와 재발방지를 요구할 계획이다.
그러나 장성급 회담이 성사되더라도 천안함 사건을 종결할 합의점을 도출해 내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북측이 유엔 안보리 의장성명에서 천안함 공격의 주체가 북한이라는 사실이 명시되지 않은 만큼 합조단의 조사결과가 조작된 것이라고 맞설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양측간 입장차만 확인하고 회담이 마무리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특히 이번 북-유엔사간 접촉은 서해 한미 연합훈련과 대북 심리전 재개 등 대북 후속조치 실행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군 당국은 회담 결과에 상관없이 당초 계획대로 훈련을 진행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안보리 의장성명 채택 이후 사실상 대화국면으로 접어든 분위기를 무시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한미 양국은 이번 접촉 결과를 고려해 서해 훈련의 장소와 시기,규모 등 훈련의 수위를 최정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군 당국은 북측이 천안함 사건에 대해 사과하거나 이에 준하는 입장 표명을 할 경우 군사훈련의 규모를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과 유엔사간 이번 접촉은 천안함 사건 이후 북측이 처음 대화의 자리에 나오는 것인 만큼 회담 결과가 주목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