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우리 경제가 올해 당초 5.2%에서 5.9%로, 내년에는 4.5%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은행은 12일 발표한 하반기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 GDP 성장률이 5.9%로 6%에 바짝 다가선 후 내년에는 4.5%로 다소 낮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지난 4월 발표한 전망치보다 올해는 0.7%포인트가 상향 조정되고 내년은 0.3%포인트가 하향 조정된 수치이다. 또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정부가 지난달 24일 5.8%보다도 0.1%포인트 높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할 경우 상반기 7.4%에서 하반기 4.5%로 성장률이 낮아지는 '상고하저' 형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또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상반기 2.7%에서 하반기 3.0%로 높아지면서 연간 2.8%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에는 상반기 3.5%, 하반기 3.3%로 연간 3.4%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올 하반기부터 실질 성장률과 잠재성장률의 격차가 플러스로 전환하는 등 수요 압력이 커지면서 물가가 올라 4분기 이후에는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인 3%를 웃돌 것이라는 것이 한은의 전망이다.
민간소비는 가계의 실질 구매력 증대 등에 힘입어 올해 3.9% 증가하고, 내년에는 3.8%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설비투자는 세계 경제의 회복세 확대, 정보기술(IT) 업황 호조, 생산설비 교체 수요 등으로 올해 20.9%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건설투자는 주택매매 위축에 따른 주거용 건물 건설 부진 등으로 올해 0.7%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취업자는 올해 33만명 안팎 늘겠지만 구직활동 증가로 실업률은 3.7%로 지난해보다 0.1%P 높아지고, 내년에는 취업자가 23만명가량 늘어 실업률이 3.5%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210억 달러로 지난해 427억 달러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