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 대한 불안, 주택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6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이 씀씀이를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05년과 올해(1∼3분기) 2인 이상 도시가구의 가구주 연령별 평균 소비성향을 비교해보면 60대를 제외한 전 연령층의 소비성향이 감소했다.소비성향은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조세·사회보험료·타 가구 송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금액)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20대의 월평균 처분 가능소득은 2005년 231만원에서 올해 241만원으로 10만원가량 늘었으나 소비지출은 같은 기간 173만원에서 176만원으로 3만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에 따라 20대의 평균 소비성향은 지난해 74.89%에서 올해는 73.02%로 1.87%포인트 감소했다.30대의 월평균 처분 가능소득은 9만원 증가했으나 소비지출은 206만원에서 212만원으로 6만원 늘어나 평균 소비성향은 이 기간 77.15%에서 76.81%로 0.34%포인트 내려갔다.40대의 월평균 처분 가능소득은 12만원가량 증가했으나 소비지출은 236만원에서 245만원으로 9만원가량 늘어나 평균 소비성향은 2005년 83.09%에서 올해 1∼3분기에는 82.77%로 0.32%포인트 하락했다.50대의 월평균 처분 가능소득이 12만원 늘어났고 소비지출은 7만원 증가, 평균 소비성향은 77.69%에서 올해는 77.16%로 0.53%포인트 감소했다.반면 60대의 월평균 처분 가능소득은 3만원 줄고 소비지출은 4만원 늘어나 평균 소비성향은 79.58%에서 82.97%로 3.39%포인트 상승했다.60대가 다른 연령층과 달리 소비성향이 증가한 것은 소비지출을 늘린 것보다는 가처분소득의 감소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