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최근 저비용항공사의 국제선 운항이 늘어남에 따라 취항 전후의 안전요건 검증 및 안전점검 강화 등의 안전운항 향상대책을 마련하고, 내달부터 맞춤식 안전관리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국토해양부는 그동안 저비용항공사에 대해서는 신규 취항 전 운항·정비·객실·시설분야 등 313개 항목 검증과 취항 후 1년까지 감독을 강화해 안전운항을 확보해 왔으나, 저비용항공사는 아직 대형항공사에 비해 운항경험이나 전문인력·안전노하우가 여전히 미흡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 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저비용항공사 안전운항 향상대책의 주요내용에 따르면, 우선 국제선 취항전에는 노선·기종별 제반 안전운항 준비상태를 철저히 검증하고, 취항 1개월 후에는 항공기 탑승점검과 취항 외국공항 확인점검, 취항 6개월 후에는 안전준수 이행실태를 종합점검해 잠재적 안전저해요인을 사전에 발굴·개선키로 했다.
또 저비용항공사 공통 11개 항목과 항공사별 3~7개 취약항목을 맞춤식 관리분야로 선정해 상시점검을 강화하고, 감독활동 뿐만 아니라 저비용항공사용 조종사 모의비행훈련센터 설립 추진, 종사자 사이버 교육 컨텐츠 개발, 안전컨설팅 제공 등 정부의 제도적 지원책도 함께 추진키로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