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함비 부분에 대한 1차 조사를 끝낸 민군합동조사단이 천안함 침몰은 외부충격이 유력하다고 16일 공식 발표했다.
그동안 외부충격의 가능성이 높게 제기되기는 했지만 책임있는 조사기관이 이를 공식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덕용 천안함 민군합동조사단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선체절단면과 선체 내, 외부에 대한 육안검사결과 내부폭발보다는 외부폭발의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윤 단장은 특히 "바로 접촉도 가능하지만 접촉하지 않고 선체 근처에서 폭발 가능성도 지금 검토하고 있다"며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는 버블제트에 의한 선체절단 가능성을 열어뒀다.
윤 단장은 그러나 그동안 제기돼왔던 내부폭발, 좌초, 피로절단 등 다른 원인에 의한 사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함미 탄약고와 연료탱크, 디젤엔진실 등에 손상이 없고 전선피목상태가 양호해 내부폭발에 의한 선체 절단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또, "조사단은 해도와 해저지형도 등을 확인한 결과 침몰지점에 찢긴 흔적이 없어 좌초에 의한 선체 절단 가능성도 희박하다"고 설명했다.
그밖에 피로파괴의 경우에도 "선체 외벽을 이루는 철판이 단순한 형태로 절단되야하지만 선체 외벽 절단면은 크게 변형돼 있고 손상형태가 매우 복잡해 가능성이 매우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윤 당장은 이같은 1차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외부 폭발의 가능성이 높지만 "최종적인 원인규명을 위해서는 함수를 인양하고 잔해물을 수거한 뒤 세부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며 조심스런 입장을 보였다.
이와함께 합동조사단은 사고원인을 밝히는 단서가 될 수 있는 일부 파편도 수거했다고 밝혔다.
공동조사단장을 맡고 있는 박정이 합참전력발전본부장은 "인양작업 현장에서 조사를 하면서 직접적인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일부 조각들도 발견했다"고 밝혔다.
박 본부장은 그러나 이 파편이 외부충격을 가한 어뢰나 기뢰 등의 폭발체 파편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밝히지 않았다.
군은 앞으로 정밀탐색장비를 이용해 천안함 침몰지점은 물론 함미가 발견된 지점 등을 중심으로 증거물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김태영 국방장관은 천안함 침몰 관련해 대국민 담화문이 있었다.
김 장관은 이번 천안함 침몰사건은 국가안보차원의 중대한 사태로 인식한다며 한점 의혹없이 철저히 원인을 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장관은 또 숨진 장병들에게 애도를 표하며 발견되지 않은 8명의 승조원을 찾는데 군이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