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의 영어 교습법을 바꾸고 시범지역을 정해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삼성경제연구소는 '영어의 경제학' 보고서에서 지난해 기준 영어 관련 국내 투자액은 사교육비 14조 3천억원, 평가비용 7천억원 등 약 15조원으로 추정했다.전체 영어 투자액은 우리나라 GDP 806조 6천억 원의 1.9%, 영어 관련 사교육비는 교육예산 30조 천억 원의 47.5%에 해당하는 규모다.삼성경제연구소는 이처럼 막대한 투자에도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이 평가한 한국인의 외국인 구사능력은 61개국 가운데 35위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이에따라 영어 투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초.중.고교에서 수학이나 과학 등 일반 과목을 한국어와 영어로 반복 강의하거나 영어 이야기 발표, 영어 연극 등 관련 행사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아울러 경제 특구와 같은 특정지역을 영어시범지역으로 지정해, 영어를 공용어 수준으로 사용하면서 사회 전체적으로 영어를 '공용어'보다 약한 개념의 '상용어'로 정착시킬 것을 제안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