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2일부터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되는 핵안보 정상회의에 참석, 핵테러 위협에 대한 공동대응에 대해 논의하고 국제 핵안보 체제에서의 우리의 역할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한국 원자력 기술의 우수성과 평화적 이용을 위한 노력 등을 홍보함으로써 원자력발전 산업의 수출기반을 확충하는데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핵안보 정상회의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4월 체코 프라하 연설에서 핵테러를 국제안보에 대한 최대 위협으로 지목하고 핵안보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한 후 그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리는 것이다. 이번 정상회의에는 핵물질 보유량, 원전 운영현황 및 도입계획 등을 고려해 미국이 선정한 47개국 및 3개 국제·지역기구가 참여한다.
이번 핵안보정상회의 핵심이슈는 핵 테러 방지. 즉, 알-카에다와 같은 테러집단이 위험한 핵물질을 확보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이 중점 논의된다.
12일부터 이틀간 네차례의 정상회의가 열리게 되는데 첫 회의격인 정상 만찬에서는 핵테러 위협을 주재로 논의를 시작한다. 여기서 이 대통령은 상이한 핵지위 국가들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을 강조함과 동시에 국제사회에 북핵문제의 조속한 해결 필요성과 이를 위한 공동노력의 중요성을 역설할 계획이다.
13일 회의에서는 핵물질 방호를 위한 국내조치와 핵안보 분야에서 IAEA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다. 여기서 이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평화적인 원자력 이용 노력을 적극적으로 알려 국제사회의 신뢰를 한단계 높인다는 계획이다.
즉, 원전 20기를 운영하는 세계 5위의 무사고 원자력 산업국이자 평화이용 모범국임을 국제사회에 알림으로써 UAE 원전수주 이후 고조된 국제사회의 관심을 원자력 산업 발전으로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실제 47개 참가국 가운데 20개 나라가 원전건설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해외 원전수출을 위한 교두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특히, 핵테러 공동대응을 위한 ‘정상성명’과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담은 ‘작업계획’도 채택할 예정이어서 핵안보 강화를 위한 국제적 공조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