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상반기 발행 예정…이황 선생 초상은 유지
내년 상반기 중 발행 예정인 새 1000원권 화폐의 도안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새 1000원권 화폐는 크기가 기존보다 가로 15mm, 세로 8mm씩 작고 푸른색 계열로 바뀐 것이 특징이다. 한국은행은 17일 새 1000원권 시제품이 화폐도안자문위원회 회의와 한국조폐공사의 실무작업 등을 거쳐 완성됐다며 도안을 공개했다. 새 1000원권은 현 인물인 퇴계 이황 선생의 초상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앞뒷면의 배경그림은 대부분 변경됐다. 앞면 보조소재는 '투호'에서 성균관 내 '명륜당'과 '매화'로, 바탕그림은 '관복 흉배무늬(사슴)'에서 '창호무늬'로 바뀌었다. 또 뒷면 보조소재는 기존 '도산서원 전경'에서 퇴계선생이 도산서당에서 저술하는 모습을 겸재 정선이 그린 '계상정거도'로 변경됐고 바탕그림은 퇴계 선생의 철학이 집약된 '천명신도'가 사용됐다. 새 1000원권에 도입된 위조방지 장치는 새 5000원권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1000원권은 가장 저액권이어서 상대적으로 위조유인이 낮다는 점을 감안해 홀로그램 및 숨은 막대는 적용하지 않았다. 우선 색변환잉크를 사용해 뒷면 오른쪽 액면숫자(1000)의 색상이 보는 각도에 따라 녹색에서 청색으로 변화되도록 했으며, 블록인쇄기법을 활용해 눈 위치에서 비스듬히 보면 감춰진 문자 'WON'이 나타나는 '요판잠상' 기법을 도입했다. 또 육안으로는 볼 수 없지만 확대경으로 식별 가능한 여러 종류의 미세문자(1000 또는 BANK OF KOREA)를 앞뒤 곳곳에 배치한 '미세문자', 앞면 중앙에 홀로그램 처리된 필름 띠를 삽입하되 부분부분 노출시킨 '부분노출은선' 기법도 사용했다. 용지두께의 차이를 극대화해 숨은그림인 액면숫자 '1000'이 빛에 비추지 않아도 육안으로 드러나는 '돌출은화' 기법도 새로 적용됐다. 빛에 비춰 보면 인쇄된 인물초상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인물초상과 유사한 그림이 나타나는 '숨은그림'과 퇴계 이황 초상, 계상정거도, 문자와 숫자 등을 만져보면 오톨도톨한 감촉을 느낄 수 있는 '볼록인쇄' 기법은 효과를 개선했다. 아울러 동그란 원 속의 무늬를 빛에 비춰 보면 앞판과 뒤판의 무늬가 합쳐져 정확히 태극무늬가 완성되는 '앞뒤판맞춤' 기법은 무늬와 위치가 변경됐다. 한은은 한국조폐공사가 곧 새 1000원권 인쇄를 시작할 것이라며 평판인쇄부터 시작해 실크스크린, 요판 및 활판 인쇄 등의 인쇄공정을 거쳐 최종 완성품으로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한편 새 1000원권과 함께 발행할 예정인 새 1만 원권의 도안도 올해 상반기 중 시제품이 완성되는 대로 공개될 예정이다. 내년 상반기 중 예정돼 있는 새 1000원권과 1만 원권의 발행일자는 앞으로 제조 진행상황을 보아가며 결정할 방침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