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야가 이번 주부터 본격적으로 중앙당 및 시·도당 공천심사위를 구성하는 등 선거체제에 돌입하면서 분열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나라당은 8일 중앙당 공심위를 구성하고 시·도당 공천심사위 구성 원칙 및 방향을 정한 뒤 10,11일께 공천신청 공고를 내 4월 말까지 공천을 완료할 예정이다.
민주당은 지난달 말 공심위를 구성한 데 이어 2일 공천 심사 기준과 방법도 결정하고 이번 주부터 후보 선정 작업에 착수 늦어도 5월 초까지 공천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이번 선거의 최대 승부처는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3곳과 세종시 변수가 내재된 충청권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게다가 세종시를 둘러싼 여야(與野)간, 여여(與與)간 대결이 전반적인 선거 분위기를 좌우하고, 4대강 사업과 서민경제 살리기, 일자리 창출, 교육개혁 등 각종 정책도 중대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정권 재창출의 기반 마련을 위해 ‘경제성공 세력 vs 경제발목 세력’을 내세우고 있고,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은 ‘무능·독주정권 심판론’을 강조 표심을 파고든다는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하지만 한나라당의 경우 친이-친박 계파간 세종시 대립에 이어 공천 갈등이 심화되고 있고, 민주당도 주류-비주류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벌써부터 공천 파열음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여기에 민주당 등 야5당과 민주통합시민행동 등 4개 시민사회단체가 후보 단일화를 하기 위한 야권 연대 방안을 발표했다.
야5당은 광역과 기초 단체장 후보 단일화에 합의할 수 있는 지역에선 정당 지지율과 유력 후보 유무 등을 고려해 후보를 정하기로 하고 합의하지 못한 그 외 지역에서는 후보 경쟁 방식을 합의한 뒤 단일 후보를 선출하기로 했다.
하지만 경선 방식을 놓고 집안 싸움이 가열되는 민주당에 맞서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국민참여당 등이 각기 후보를 내세우며 자존심을 건 싸움을 준비하고 있다.
이밖에 심대평 전 자유선진당 대표가 충청권 중심의 국민중심연합 창당을, 동교동계 핵심 인물인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는 호남지역 신당 창당을 본격화해 야당이 4분5열 되고 있어 연대에 대한 절박감은 모두 인정하고 있지만 선거를 앞두고 성과를 낼 수 있을 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실제로 야권의 ‘후보 단일화’ 성공 여부에 따라 선거 구도에 상당한 파장이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지만 연대 방법론을 놓고도 논란이 이는 등 성사여부가 불투명해 현실적으로 가능할 지는 미지수다.
이번 지방선거는 2012년 총선과 대선을 2년여 앞두고 민심의 향배를 가늠할 수 있는 기회로, 이명박 정부 중간심판의 성격을 띠고 있어 여야 모두가 총력전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분열양상이 심화되고 있어 결국 다자 체제로 선거가 치러질 가능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