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불진화는 「산림청」이 주무부처이며 「산림부서」가 주무부서입니다.
o 산불은 일반 주거지역의 건물화재와 달리 지자체장의 진화지휘에 따라 산림부서와 산림공무원이 주축이 되어 현장진화하고 있습니다.
o 소방서·군·경찰서 등 관계기관은 산림부서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각자 맡은 역할을 하는 체계로 되어 있습니다.
[2] 산불은 「산불진화헬기」와 「산불진화대원」을 주축으로 진화합니다.
o 공중진화는 산림청의 「산불진화헬기」를 중심으로 소방·군·경찰·임차헬기가 유기적으로 협조하고 있습니다.
※ 헬기운행 효율화를 위한 공중지휘도 산림청의 「공중지휘헬기」가 담당
o 지상진화는 「산림공무원」과 「산불전문진화대」가 전담하거나 중심이 되어 진화하고, 타부서 공무원 등이 협조하는 체계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소방대원은 도로변·민가 주변에서 주택화재 방지를 담당
[3] 그러나, 「소방부서에서 소방대원·소방헬기가 산불을 진화」하는 것으로 잘못 보도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o 산불진화 보도를 할 때 「소방당국, 소방대원, 소방헬기」라는 표현을 사용할 경우 산불진화가 소방부서의 업무라고 오해될 수 있습니다.
o 이는 산불진화 지휘체계의 혼선을 가져오고, 현장진화를 주관하는 산림공무원의 사기저하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정확한 사실관계의 보도 차원에서도 바로 잡을 필요가 있습니다.
[4] 따라서 앞으로 산불진화에 관한 보도를 할 때 사실관계에 적합하게 다음 용어를 사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소방당국”→ 「산림당국」
“소방헬기”→「산불진화헬기」 또는 「산림청 헬기」
“소방대원”→ 「산불진화대원」 또는 「진화대원」
【 산불진화 관련 참고자료 】
[1] 지상진화는 산림부서의 「산림공무원」과 「산불전문진화대원」이 주축이 되어 지휘·진화합니다.
o 산불현장 투입을 위하여 진화헬기에서 낙하하는 「공중진화대원」

o 산불현장에서 방화선을 구축하는 산림부서의 「산불전문진화대원」
[2] 공중진화는 산림청의 「산불진화헬기」를 중심으로 진화합니다.
o 산불진화 전문헬기인 「초대형 산불진화헬기」
o 산불현장에 물을 투하하고 있는 「대형 산불진화헬기」
[3] 「소방대원」은 산불진화에 직접 투입되지 않고 주로 주택화재와 민가 보호를 담당합니다.
o 주택에 옮겨 붙은 화재를 끄고 있는 「소방대원」
[4] 「소방헬기」는 중·소형으로서 산불진화에 부적합하며, 주로 인명구조를 담당합니다.
o 소방방재청 소속의 인명구조용 「소방헬기」
[5] 「소방차」는 길이 좁은 산불현장에 진입하기 어려우므로 주로 큰 도로변에서 대기하며, 주택화재 진압과 민가 보호에 투입됩니다. o 산불현장에 깊숙이 투입되어 물을 뿌리는 산림부서의 「산불진화차(소형)」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