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는 2009년도 도내 하천 수질측정망 운영결과를 발표하면서 한강 하류의 수질악화에도 불구하고, 도내 하천의 수질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밝혔다.
도내 하천수질 측정망은 수계본류, 유역말단지점, 시군경계 등 257개 하천, 433지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매월 1회 도 보건환경연구원, 지방환경청 등에서 수질오염도를 정기측정 분석하고 있다.
강원도의 지난해 하천수질은 관측이후 가장 깨끗한 청정수질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천 측정망 433 지점 중 350개 지점(80.8%)이 BOD 1.0㎎/ℓ 이하의 ⅠA등급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내 15개 중권역 중 가뭄의 영향을 받은 낙동강 수계(황지천)을 제외하고는 전 수역에서 국가 물환경관리 기본계획에 의한 「권역별 물환경 목표기준」을 달성한 것으로 조사되어 전국 평균과 비교하면 3배 이상(BOD)의 깨끗한 하천수질을 유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6년까지 도내 하천수질 ⅠA등급 유지율은 60%대였으나, ‘07년 73.9%, 그리고 ’08년과 ‘09년에는 80.4%와 80.8%로 수질이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도내 주요하천 중 오염도가 비교적 높았던 섬강 수계도 ‘95년 BOD 2.5에서 ’09년 1.5㎎/ℓ로 크게 개선되었다.
강원도내 하천의 수계별 특성을 분석한 결과, 북한강 유역은 토사유출 등에 의한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큰 반면 하?폐수 등 고정배출원에 의한 수질오염의 영향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BOD기준 ⅠA등급 유지율은 90.6%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춘천 공지천의 경우는 Ⅲ등급 수질로 나타나 2012년까지 2,221억원의 예산을 투자하여 약사천 수질개선, 오수분류, 생태하천복원 등 수질개선사업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남한강 유역은 타 수계에 비해 비교적 고정배출원에 의한 영향이 크며 원주 도심을 관통하는 원주천의 수질오염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원주 하수처리장의 고도처리시설(‘06-’09년)이 도입되면서 원주천 및 섬강 수계의 수질오염도가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해연안의 하천은 강우 등 외적 환경요인에 의한 하천 수질변화가 적고 하천 오염도가 낮아 도내에서는 가장 안정화된 유역특성을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부 국가수질 정기측정망 운영결과에 따르면, 팔당 등 한강 하류지역은 2005년 이후 오염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상류지역 하천 수질이 개선되고 있는 것은 강원도가 지난 ‘98년부터 “어떠한 경우라도 강원도의 물만은 청정 1급수 유지”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추진한 맑은물보전 대책의 결과가 가시화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팔당지점은 2005년 BOD 1.2㎎/ℓ에서 수질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지난해 1.5㎎/ℓ로 높아졌으며, COD, T-P도 각각 4.1㎎/ℓ, 0.039㎎/ℓ로 오염도가 증가하고 있다.
김학철 강원도 환경관광문화국장은 금년에도 수질개선사업에 총 4,223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소양?도암호 유역 등 토사유출 저감을 위한 고랭지 비점오염 관리 수생태계 복원을 위한 생태하천 복원사업 T-P 제거를 위한 하수처리장 고도처리시설 설치 하천의 생태적 건강성을 평가하는 수생태모니터링 등 수질개선사업 및 한강 살/가/지(살리고?가꾸고?지키기) 운동을 적극 추진하여 수자원 가치 제고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