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설 연휴가 끝나자마자 정부 여당이 세종시 수정안 당론 변경을 수정안의 국회 제출 절차에 돌입 정국이 다시 격돌하고 있다.
4월 국회 처리를 목표로 16일 오후 공청회를 여는 한편 법제처 심사와 차관회의 등을 거쳐 이달 말까지 법안 제출 준비를 끝마친다는 계획이다.
한나라당 지도부도 정부 측의 4월 처리 필요성에 속도 조절론을 내세웠던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달 내에 의원총회를 열 수도 있다고 밝혔다.
안 원내대표는 “의총 소집요구가 없다면 예정대로 3월 초에 의총을 하겠지만, 요건을 갖춰 의총을 요구한다면 거절할 명분이 없지 않으냐”며 수용 의사를 내비쳤다.
이 대통령도 지난 13일 공중파 라디오, 케이블TV 등을 통해 전국에 방송된 설 특별연설에서 “우리가 바라는 것은 정치를 위한 세종시가 결코 아니며 국가와 국민을 위한 세종시”라고 세종시 수정안 홍보에 적극 나섰다.
또 “어떤 길이 국민을 위한 길인지, 어떤 길이 국가미래를 위한 진정한 애국의 길인지 다같이 차분하게 생각해 봤으면 한다”고 세종시 수정이 지역과 정파를 떠나 국가 차원의 ‘백년대계’임을 국민들에게 당부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차근차근 당내 토론 절차를 밟아서 할 것”이라고 말했고, 핵심 참모도 “소리가 나지 않게 할 일을 다할 것”이라며 신중한 접근을 강조했다.
하지만 세종시에 대한 설 민심의 전언과 해석은 여야가 달랐고, 친이계와 친박계가 각각 다른 평가를 내렸다.
당초 ‘3월 당내 끝장토론→4월 임시국회 여야 격돌’로 예정한 한나라당의 일정이 앞당겨지면서 계파간 정면충돌의 긴장감도 고조되고 있다.
친박계는 이정현 의원은 “수와 힘으로 당의 입장을 조변석개식으로 뒤집는다면, 다가오는 지방선거나 다른 총선·대선 등에서 엄청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면서 “이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당론 폐지를 주장했던 사람들이 져야 할 것”이라고 거부감을 나타냈다. 친박계 모임인 '여의포럼'은 오는 23일 회동을 갖고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반면 민주당은 충청권 민심도 아직은 큰 변화가 없이 여전히 원안고수의 의견이 우세하다는 결론과 집권 여당이 친이·친박으로 갈려 국정의 무게중심을 잡지 못한다는 점을 국회 안팎에서 계속 부각시킬 계획이다.
16일 민주당을 비롯한 야5당은 세종시 백지화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각종 의혹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세종시 수정안을 홍보하기 위해 국정원 등 정보기관을 동원하고 금권을 이용, 군중을 동원 여론을 조작 했다는 것이다.
한나라당 친이계 의원들은 조만간 의총 소집요구서를 제출할 예정으로 당내 찬반 논란이 다시 점화 친이-친박 계가 다시 정면충돌할 것은 분명하다.
현실적으로 친박계의 반대가 조직적으로 이루어 질 경우 수정안 당론변경조차 어려운 것으로 야당의 반대와 당내의 갈등으로 세종시 해법은 없고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어 여전히 안개정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