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 발표, 국제유가 급등·경기회복 지연 등 영향
국제유가 급등 등 대외 경제여건이 악화되고 경기회복이 지연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경기·생활형편·소비지출 등에 대한 기대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전망조사' 결과에 따르면 6개월 후 경기, 생활형편, 소비자지출 등에 대한 기대심리를 나타내는 소비자기대지수는 95.4로 전월의 99.2보다 3.8포인트 떨어졌다. 소비자기대지수는 지난 3월 102.2로 29개월만에 기준선을 넘어섰다가 4월에 다시 떨어져 3개월째 하락하고 있다. 소비자기대지수가 기준치인 100보다 낮으면 6개월 후의 경기나 생활형편 등이 현재보다 나빠질 것으로 보는 소비자가 좋아질 것으로 보는 소비자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항목별로 보면 소비지출에 대한 기대지수의 경우 전월과 같은 103.4를 유지, 2월 이후 기준선을 계속 상회했다. 반면 경기에 대한 기대지수(92.2), 생활형편에 대한 기대지수(97.8), 가구·가전제품·승용차 등 내구소비재 구매지출 기대지수(87.6), 외식·오락 문화생활 관련 소비지출 기대지수(88.7)는 모두 기준선 아래에서 움직였다. 소득계층별로 보면 월소득 4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은 104.4로 전달의 103.6보다 높아진 반면, 300만∼399만원(98.0), 200만∼299만원(97.7), 100만∼199만원(91.4), 100만원 미만(88.5) 등의 소득층은 기준치 이하로 떨어졌다. 연령대별로는 모든 계층에서 전월보다 하락해 6개월 후의 경기 및 생활형편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소비자가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소비자보다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경기나 생활형편 등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는 소비자평가지수는 79.7로 전달보다 5.8포인트 떨어졌다. 자산평가지수는 금융저축 부문에서 89.9로 전달의 90.3에 비해 소폭 하락했지만 토지 및 임야는 101.4, 주택 및 상가는 97.7, 주식 및 채권은 91.4로 전달보다 소폭 올랐다. 한편 ‘가계수입이 1년 전보다 증가했다’는 가구의 비중(17.1%)은 전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한 반면 ‘6개월 전에 비해 부채가 늘었다’는 가구의 비중(25.4%)은 0.7%포인트 줄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