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정치권은 진통 끝에 예산안과 노동법 강행처리에 새해 벽두부터 긴장감이 감도는 가운데 여야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놓고 치열한 정국 주도권 경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9일 앞으로 다가온 세종시 수정안 발표도 폭발력 있는 변수인 만큼 정국 주도권을 잡기 위한 여야의 싸움은 새해 벽두부터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정치권이 지방선거 정국으로 전환되는 가운데, 민주당이 예산안과 노동법 강행처리에 반발해 임시국회 불참과 법적 대응을 선언하고 나서 긴장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우여곡절 끝에 예산안과 노동법이 처리됐다며 이제 지방선거 승리로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특히 6월 지방선거에서 관심지역은 수도권의 표심을 좌우하는 서울시장과 함께 경기도지사와 인천광역시장 선거이다.
서울시장 후보군으로 분류되는 인사들이 일제히 모습을 드러내며 일찌감치 경쟁구도를 형성했다.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가 서울거주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주 실시한 조사에서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군에 대한 지지도를 물은 결과 오 시장 27.8%, 원희룡 의원 12%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 뒤를 나경원 의원(8.9%), 맹형규 대통령 정무특보(5.6%), 박진 의원(3.6%), 정두언 의원(3.4%) 등이었다.
반면 야당 후보군에 대한 지지도에서는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19.4%, 한명숙 전 총리가 10.1%를 각각 기록했고 이어 김성순 민주당 의원(8%), 김한길 전 의원(6.9%), 추미애 민주당 의원(6.7%)의 분포를 보였다.
한편 오 시장-한 전 총리-노회찬 진보신당 대표를 내세운 가상대결 조사에서는 오 시장 48.5%, 한 전 총리 27%, 노 대표 14.9%의 지지율을 보였고, 유시민 전 장관이 나왔을 경우에는 오 시장 48.6%, 유 전 장관 29.4%, 노 대표 11%로 나타났다.
경기도지사는 현역인 한나라당 김문수 지사의 재선 도전 여부가 최대 관심이다.
만약 김 지사가 출마를 포기하고 당권이나 대권 도전으로 방향을 틀 경우, 여권 내부에서는 4선의 남경필 의원과 지난 2006년 지방선거 경선에서 고배를 마신 4선의 김영선 의원이 현직 장관으로는 경기도에 지역구가 있는 임태희 노동부 장관,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이 있다.
이밖에 심재철 국회 예결위원장, 원유철 경기도당위원장, 서울시 정무부시장 출신의 이춘식 의원도 출마설을 부인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민주당의 경우 경제부총리와 교육부총리를 지낸 김진표 최고위원과 원내대표 출신의 3선의 원혜영 의원, 김부겸 의원, 이종걸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장, 정장선 지식경제위원장도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진보신당 심상정 전 공동대표도 출마가 점쳐지고 있다.
인천은 현역인 한나라당 안상수 시장에 맞서 당내 이윤성 국회부의장이 가장 강력한 후보로 꼽히고, 당내 친박계로는 유정복, 이학재 의원이 자천 타천으로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민주당에서는 이호웅, 김교흥, 문병호, 이기문 전 의원, 유필우 인천시당위원장이 후보로 꼽있다. 민주노동당에서는 김성진 전 최고위원이 출마를 선언한 상태다.
특히 인천은 한나라당의 아성에 맞서 야권 후보 단일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선거 막판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는 "집권 3년차를 맞는 이명박 정부가 할 일이 많이 있습니다. 이 많은 일들을 차질 없이 수행하기 위해서 이번 지방선거는 매우 중요한 선거가 되겠다."며
공언했던 4대강 예산 저지에 실패하며 힘의 한계를 절감한 민주당은 무거운 분위기 속에 단배식을 갖고 .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지방선거 승리를 위해서 매진하겠습니다. 이번 지방선거는 이명박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가 될 것이다."며 지방선거에서의 설욕을 선언했다.
자유선진당도 세종시 원안 사수와 지방선거 승리를 통한 전국정당화의 포부를 밝혔다.
정치권은 경기도지사는 서울시장과 함께 차기 대권주자 반열에 오를 정도로 중요한 자리로서 수도권 유권자의 표심을 가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찌감치 지방선거 최대 승부처로 꼽히고 있어 경쟁은 더욱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