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승강기내 이동통신 중계기(안테나) 설치관련 검사기준 마련해 엘리베이터 탑승시 통화가 불통되는 불편을 해소하게 됐다.
행정안전부(장관 이달곤)는 승강기의 전자파 오동작 예방 및 승강기 내 휴대폰 통화불량으로 인한 민원해소 등을 위하여 전자파 안전인증을 받은 승강기 등 안전성이 확인된 승강기의 경우 이동통신 중계기(안테나) 설치가 가능토록 검사기준을 마련시행 한다고 밝혔다.
검사기준 내용은 승강기 내 이동통신 중계기의 설치는 전자파 인증(KS B 6945)을 받은 승강기로 한정하고 인증을 받은 승강기의 경우도 승강기의 전자파 내성기준(전자파에 견디는 정도)을 초과하지 않도록 중계기의 최대·최소 출력을 제한하기로 했다.
또한, 승강로(승강기 이동통로) 내 이동케이블(승강기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케이블)간 엉킴으로 인한 오동작 예방을 위해 신호전송을 위한 케이블은 구부림 등 케이블 적합성 시험기준(KS B 6948) 등 관련 기준을 준수토록 규정했다.
승강기 및 통신업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전문위원회 구성 및 승강기의 전자파 환경에 대한 실태조사, 전자파 적합성 시험 등을 통하여 기준 마련했다.
행안부는 금번 검사기준 마련으로 전자파로 인한 승강기 오동작 사고예방 및 승강기 내 통화불량으로 인한 연간 약 1만4천 건의 대국민 민원해소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동통신 업계에서는 통화사각 지대 해소를 위해 그간 건물의 층마다 중계기 안테나를 설치하는 등으로 발생한 중복투자 비용이 향후 5년 이내 약 5,600억원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행안부는 금번에 마련된 기준이 승강기 내 갇힘 등 고장발생 시 승강기 안전관리 업체 및 119 구조대 등에 구조요청 신호의 무선전송 등 유비쿼터스가 접목된 승강기 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