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로 창원과 마산, 진해시의 행정통합이 사실상 결정됐다.
지난 7일 마산과 진해시의회에 이어 창원시의회도 11일 오전 본회의를 열고, 기립으로 찬반 표결에 들어가 찬성 15명, 반대 4명으로 통합안을 가결시켰다.
표결에 앞서, 주민투표로 통합을 결정해야 한다는 민주노동당과 무소속 의원들의 강력한 반대가 있었지만, 결국 한나라당 의원들의 압도적인 찬성에 밀렸다.
마산과 진해시의회에 이어, 창원시의회도 마창진 통합안에 대해 찬성 결정을 내리면서 정부가 추진 중인 자율통합이 마.창.진 통합시 탄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마창진 통합이 확정되면 마산의 문화ㆍ서비스, 창원의 기계, 진해의 조선ㆍ항만 산업을 결합해 인구 110만명의 동남권 거점 도시로 육성할 방침이다.
행정안전부는 주민투표 없이 곧바로 자율통합 추진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오는 14일 경남도의회가 3개 시 통합안에 대한 찬반의견 안건을 다루기로 했지만, 이미 당사자격인 3개 시의회가 모두 찬성함에 따라 별다른 영향력을 미치지는 못랄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는 마창진 3개 시를 통합대상 지역으로 확정하고, '통합시 설치법'을 국회에 제출해 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통합시장을 선출하고, 7월 통합시가 출범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하지만, 앞으로의 과정도 산 넘어 산이다. 특히, 주민투표를 생략하는 것에 대한 시민단체들의 반발은 여전하다.
시민단체들은 시의회앞에서 마산ㆍ창원ㆍ진해의 통합여부를 주민투표로 결정할 것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인 다음, 본회의장 앞으로 이동해 구호를 외치며 주민투표 없는 통합 추진에 거세게 반발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통합시 명칭이나 소재지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 결정하게 되는 단계에 들어가면 자치단체 간 통합에 대한 갈등은 최고조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특히, 통합과 관련해 각 시의 이해관계가 걸린 부분에 대한 논의는 전혀 없었기 때문에 준비가 덜 된 통합 추진이라는 비난은 벌써부터 쏟아지고 있어 앞으로 가시밭길을 예고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