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내년 우리 경제가 소비와 투자, 수출 등의 증가에 힘입어 4.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2010년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4분기에는 3분기 대비 국내총생산, GDP 성장률이 0.3%를 기록해, 올해 전체로는 0.2%의 플러스 성장을 할 것으로 분석했다.
또, 내년에는 전기 대비로 상반기에 0.7%, 하반기에 1.1%의 성장을 해 연간으로는 4.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전망치는 정부의 전망인 성장률 5%보다는 다소 낮지만 국제통화기금(IMF)의 4.5%보다는 약간 높은 것이다.
한국은행은 내년에는 소비심리와 가계소득이 개선되면서 소비가 3.6% 늘고, 설비투자도 수요 증가 등에 따라 11.4%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지만 건설투자는 3.1%에서 내년 2.5%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수출은 세계 교역여건 개선으로 9.3% 늘겠지만 수입이 더 크게 증가하면서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올해 430억 달러에서 내년에는 170억 달러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취업자 수는 17만명 증가하면서 올해 7만명 감소에서 증가세로 전환되고, 실업률은 3.5%로 올해의 3.7% 보다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내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올해와 비슷한 2.8%로, 물가안정목표 중심치인 3% 이내로 예상했지만 하반기 이후 원자재가격 상승 등에 따라 상승 압력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은 내년에 우리 경제가 세계 경제 회복과 소비.투자심리 개선으로 성장률이 높아지는 가운데 정책효과는 줄고, 민간부문이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은행은 다만 "이런 전망 경로에는 작지 않은 불확실성이 내재한다"며 "주요 선진국의 높은 실업률 및 은행 대출 위축 등으로 소비 및 투자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될 가능성,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이 수요 회복에 공급차질 및 투자 자금 유입이 겹칠 경우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일 소지, 달러 캐리트레이드 등의 영향으로 외국인 포트폴리오 투자 자금의 유출입이 확대될 경우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은행은 이런 전망치의 전제조건으로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3.3%, 원유도입단가를 배럴당 83달러로 계산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