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우리나라 경제가 내년 초부터 회복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우리 정부와 연례협의를 위해 방한한 IMF 대표단은 지난 28일 "한국 경제가 조정기를 겪고 있지만, 펀더멘탈(기초체력)은 여전히 좋은 상태"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IMF대표단은 "한국 경제는 경기호황과 급속한 신용증가 시기를 거친 후에 조정기를 겪고 있다"면서 "경기 호황기에 과도하게 누적된 가계부채로 신용불량자가 급증했고 그 결과 가계부문은 소비를 줄여 부채수준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IMF대표단은 이어 "가계 소비감소로 기업은 투자를 주저하게 됐고 이로인해 경제성장률이 저하됐다"고 분석했다. IMF대표단은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기업의 수익률이 높고, 은행시스템이 건전하며 최근 몇년간 정부의 개입정도가 줄어들면서 시장에 의한 경제활동이 가능해지고 있는데다 민간부문의 활동을 위한 전반적인 틀도 건전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IMF대표단은 "이같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한국정부의 과단성 있는 정책과 경제의 잠재력이 드러났다"면서 "정부의 거시경제측면에서의 경기활성화 대책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IMF대표단은 또 "건설경기 활성화 대책을 포함한 정부 정책들이 경기회복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신용불량자 문제 해결을 위해 도입한 신용회복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고 덧붙였다. IMF대표단은 "보다 건전하고 활력있는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신용보증제도를 기존기업 중심에서 성장잠재력이 있는 신규 창업기업 위주로 운용하는 제도로 전환하려는 계획을 환영한다"며 "다만, 투자촉진을 위해 노동시장 유연성을 제고하기 위한 계획을 활성화하고 사회안전망을 확충해나갈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조슈아 펠만 아시아태평양국 부국장을 단장으로 한 IMF대표단은 지난 13일부터 27일까지 우리 정부와 학계, 재계, 노동계 등과 연례협의를 가졌으며, 그 결과를 연례협의보고서에 담아 내년 IMF이사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