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9월 말 현재 가계 빚이 사상 처음으로 700조원을 넘어섰다.
이 가운데 가계대출 중에서 주택관련용도의 대출비중은 50.8%로 전분기보다 3.0%포인트 상승했다. 예금은행의 주택관련 용도의 대출비중이 50%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3분기 중 가계신용 동향’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712조8천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5조원(2.2%) 증가했다.
비 은행권을 중심으로 대출이 증가했고, 신용카드 사용액도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가구 수(1천691만7천 가구)로 나누면 가구당 빚 4천213만원씩, 추계 인구 수(4천874만7천 명)로 나누면 1인당 빚은 1천462만원이 된다.
은행과 저축은행 등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675조6천억원으로 14조1천억원 증가했으며 신용카드사와 백화점 등을 통한 외상 거래인 판매신용 잔액은 37조2천억원으로 1조원 늘었다.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은 9월 이후 DTI 규제가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 적용된데다 일부 은행이 대출채권을 유동화한 영향으로 증가폭이 2분기 8조2천억원에서 3분기 4조7천억원으로 줄었다. 주택담보대출도 증가액이 7조1천억원에서 4조8천억원으로 축소됐다.
반면 비은행 금융기관의 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2분기의 2조9천억원에서 5조5천억원으로 커졌으며 여신전문기관과 국민주택기금 등 기타 금융기관 대출도 보험기관과 국민주택기금 등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2조7천억원에서 3조9천억원으로 확대됐다.
이는 은행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강화되면서 2금융권 대출이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나타났다.
금융기관 가계대출을 지역별로는 수도권 가계대출은 8조 5천억원이 증가해 잔액이 355조 6천억원을 기록했으며 비수도권 가계대출 잔액은 183조 1천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조 7천억원이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DTI 규제 강화로 예금은행에서 대출이 어려워지자 비 은행으로 수요가 이동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났다”며 “10월부터 DTI 규제가 2금융권으로 확대됐기 때문에 가계대출 증가폭이 둔화될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DTI가 40%를 넘는 경우 대출금 연체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층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주택담보대출이 급격히 늘고 있어 위험을 예고했다. 이 가운데 내년 2분기 만기가 돌아오는 금액이 17조 2,000억 원으로 가장 많아 내년 1분기쯤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이라는 예상 가운데 내년 2분기에는 가계의 대출 상환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경기침체 속에 상환능력까지 떨어지면서 집값 하락으로 자산가치가 떨어지면 우리 경제도 미국과 같은 경로를 걷게 될 수도 있어 제2의 금융위기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