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스 21]배상익 기자 = 정부가 22일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영산강, 금강 구간 기공식 (4대강 살리기 희망선포식)을 가졌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광주시 승촌보 착공식장에서 열린 영산강 살리기 희망선포식 축사를 통해 “4대강 살리기는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일이 아니라 지금 이 시점에서 꼭 해야 할 일”이라면서 강한 의지를 천명했다.
그러나 영산강 6공구 승촌보 사업 현장과 금강 6공구 부여보 기공식을 계기로 4대강 정비사업에 본격 착수하면서 여야간 격돌을 예고하고 있다.
민주당은 4대강 사업 저지를 위해 관련 예산 심사 거부는 물론 가처분 신청 등 법적대응 방침까지 불사하며 정부가 4대강 세부자료를 추가로 제출하지 않을 경우 예산 심의를 계속 거부하는 한편, 가처분 신청 등 사업 중단을 위한 법적 대응책도 강구할 방침이다.
한나라당은 야당이 4대강 사업 예산 통과의 발목을 잡고 있어 민주당을 비난하며 이를 정치공세라고 일축하면서 즉각적인 예산심사 착수를 압박했다.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은 “오랫동안 방치됐던 영산강에 깨끗한 물이 흐르고 문화와 역사가 흐르는 강으로 거듭 태어나게 하기 위한 행진이 시작됐다"면서 "민주당은 하루 속히 예산심사에 임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민주당 우상호 대변인은 “이 대통령의 ‘영산강 살리기’라는 4대강 사업 착공 공식화로, 드디어 4대강에 국가적 재앙이 시작됐다”며 “4대강 사업에 쓰이고 있는 엄청난 국가 재정이 곧바로 대한민국 재정파탄의 주범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예산 심의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검증도 받지 않고 국회를 무시하며 국민 혈세를 맘대로 쓰겠다는 선전포고”면서 “4대강 사업은 당장 중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기공식이 열린 승촌보 공사 현장은 1989년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었던 지역으로 호남지역 중심인 광주광역시 남구에 위치해 있어 지역 민심의 중심지다. 때문에 일부 호남 지역의 여론은 찬성하는 분위기도 있다.
국회는 내년도 예산안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를 놓고 핵심 쟁점인 4대강 사업과 세종시 등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여야간 갈등의 골만 깊어지는 가운데 정기국회에서 예산안처리가 불가능해 장기전이 예상된다.
국민의 70%이상의 반대 또는 축소해야 한다는 여론과 환경단체와 교수들의 4대강 사업으로 수질오염과 환경파괴가 불가피하다며 사업추진에 전격적인 반대와 공사금지가처분신청과 행정소송을 제기해할 것으로 예상돼 순탄치는 않을 전망이다.
_?xml_: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