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개 농수축산물·6개 서비스 요금 중점 관리
정부는 추석 물가안정을 위해 오는 13일부터 26일까지 무·배추·쇠고기 등 14개 농축수산물과 이발요금, 미용요금 등 6개 서비스 요금을 중점 관리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수급불안 우려가 있는 밤·명태·오징어·고등어·조기 등의 공급량을 2배로 늘리는 등 추석 성수품에 대한 품목별 수급안정대책과 염가판매, 유통질서 단속을 통해 물가를 3%대로 하락 안정시킨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9일 과천정부청사에서 김광림 재정경제부 차관 주재로 물가대책차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추석물가안정대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8월 소비자물가가 전년동월대비 4.8% 상승한데다 추석과 태풍까지 맞물릴 경우 물가불안심리가 확산될 것으로 보고, 물가대책을 통해 3%대 중반의 안정 토대를 마련하는데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쌀, 쇠고기, 돼지고기, 계란, 사과, 배, 밤, 배추, 무, 양파, 조기, 명태, 오징어, 고등어 등 농축수산물 14개 품목과 이용료, 미용료, 목욕료, 삼겹살, 김치찌개백반, 영화관람료 등 개인서비스 6개 품목의 가격을 중점 관리할 계획이다. 무와 배추의 경우 농협계약재배물량 공급을 확대하고 추석 전 조기출하를 독려하는 한편, 김치가공업체의 수요를 10월 이후로 분산시키기로 했다. 축산물의 경우 단기적으로 계통출하 확대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돼지고기의 경우 육가공업체 보유물량의 공급을 확대하고, 계란은 대한양계협회 등의 가격인상 자제유도 등을 통해 안정을 도모하기로 했다. 수산물은 추석수요 증가로 오름세가 예상돼 정부 비축물량을 집중 방출하며 민간 보유물량에 대해서는 출하 확대를 유도하고, 과실·임산물도 농협 계약출하 물량을 늘리기로 했다. 성수품별 공급물량은 물가대책 기간에 쌀이 1일 평균 6500가마로 평시보다 30% 늘어나고, 쇠고기 440톤(↑30%), 돼지고기 4만5000마리(↑5%), 사과 555만톤(↑66%), 밤 400톤(↑100%), 배 576톤(↑65%), 명태 1640톤(↑100%) 등으로 각각 늘어난다. 또 제수용품을 전국 농협 2900여개 매장에서 5~30%, 전국 97개 산림조합에서 5~20% 염가판매하고, 농수산물유통공사는 서울 양제동 aT센터에서 149개 업체의 전통가공식품, 농수축산물, 제수용품, 민예품을 염가 판매하도록 하는 등 특판행사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원산지 표시의무 위반 등 유통질서 단속을 강화하는 한편 각 시·도별 지방물가안정 대책회의를 열어 추석 물가안정을 유도하기로 했다. 이용료, 미용료, 목욕료, 영화관람료 등 개인서비스 요금의 부당 인상사례가 없도록 현장 중심의 지도·단속도 강화하기로 했다. 대책기간에는 또 추석 성수품 수송화물자동차에 대한 현행 도심권 통행제한도 해제하고, 화물운송 질서문란행위에 대한 ‘시·도별 부당운송행위 고발센터’를 운영키로 했다. 정부는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참여하는 `추석물가 및 수급점검반`을 구성해 성수품 가격·수급동향을 파악하는 한편 부처별 대책추진상황을 점검키로 했다. 한편 농림부는 올 추석 차례상 비용은 작황이 좋은 관계로 작년의 15만1000원보다 줄어든 약14만원이 들 것으로 예상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