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세종시 문제로 정국은 여여간 갈등과 여야 격돌이 예상되는 혼돈상황으로 전개될 전망이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세종시는 국회가 국민과 충청도민에게 한 약속이지 개인 약속이 아니다”며 “내 개인적인 정치신념으로 폄하해서는 안 된다”고 밝히면서 세종시에 대해 정반대의 해법을 제시하며 정부와 정운찬 총리에 첨예한 대립각을 세웠다.
특히 박근혜 전 대표를 비롯해 정운찬 총리, 김문수 경기 지사 등이 세종시 문제를 놓고 뚜렷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고 세종시 문제가 힘겨루기로 번질 경우, 여권 내 내홍은 한층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가 세종시 원안 수정론에 대한 불가 입장을 분명히 밝히면서 친박계 의원들도 박 전 대표와 각을 세운 정운찬 총리 견제에 나설 것으로 알려져 당내 계파간 대립이 우려된다.
수도권 의원들이 주축이 된 친이 주류 측은 대정부 질문 등을 통해 세종시 수정 불가피론을 확산시킨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져 여권 내의 갈등이 확산될 전망이다.
국회에서는 2일 정운찬 총리의 시정연설과 3·4일 교섭단체 대표연설에 이어 대정부 질문으로 이어지는 11월 정국은 곳곳에서 극한 대립이 예상된다.
특히 5일부터 11일까지 실시되는 대정부 질문에서는 정 총리가 국가 현안에 대해 처음으로 답변에 나서는데다 민주당이 단단히 벼르고 있어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세종시 문제에 관한한 정면돌파 의지를 피력한 정운찬 총리, 수정 불가 입장을 천명한 박근혜 전 대표의 대립은 여전히 11월 정국의 태풍의 핵이다.
청와대 이동관 홍보수석은 1일 세종시 문제와 박 전 대표의 발언에 대해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물론 이명박 대통령도 세종시에 대해선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세종시 문제로 청와대는 약속이나 한 듯 일제히 입을 닫았다. 이 문제에 대해 내부적으로 함구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