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정부와 여당은 세종시 건설 문제와 관련해 원안 대신 정부 부처의 규모를 1~3개로 최소화하거나 첨단산업을 유치해 자족기능을 갖춘 '국제과학기술도시'를 건설하는 세종시 수정안의 골격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총리는 '충청인의 우려와 여론을 충분히 감안해 좋은 수정안을 마련해 국회에 넘기겠다'고 설명했고 정 대표와 안 원내대표는 '정부안이 나오면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총리실 고위 관계자는 "아직 최종결정 된 것은 없다"면서도 "다른 부처들과 협의를 거쳐 기존 연구를 토대로 빨리 결론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28일 재보선 이후 국무총리실 산하에 세종시 문제를 맡을 '자문기구'를 설치하고 국민여론 파악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현재 정부가 유력하게 구상 중인 세종시의 수정안은 부처 이전 대상을 9부2처2청(원안)에서 교육과학기술부 환경부 등 1~3개로 줄이는 대신 정보기술(IT) 생명공학기술(BT) 등 첨단산업분야의 대기업들과 대학, 연구소, 국내외 의료기관 등을 유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야당과 충청권이 이전 대상 부처를 축소하는 장관고시 변경에 대해서도 강력 반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세종시의 원안을 철회하고 수정안을 추진할 경우 논란은 더욱 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권이 세종시 수정안을 추진하려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특별법을 개정해야 하는데, 야권의 반발이 워낙 강해 제대로 실행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