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 유엔총회 연설…“동북아.세계평화를 위해 핵무기 없는 한반도 이뤄져야”
이명박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그랜드 바겐(Grand bargain)' 구상을 거듭 주창하면서 북한에 조건 없는 6자회담 복귀를 강력히 촉구했다.
취임 이후 처음으로 참석한 유엔총회와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 정상과의 회담에서 북핵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그랜드 바겐'의 필요성을 적극 설명하면서 비핵화 실현과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국제무대에 천명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날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은 조건없이 6자회담에 조속히 복귀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제거하기 위한 국제공조에 적극 임할 것이며, 북한도 이런 노력에 조속히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특히 "'핵무기 없는 한반도'는 동북아시아와 세계의 평화를 위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면서 "지구상 유일한 분단지역인 한반도가 진정한 화해와 통일의 길로 들어서기 위해서도 비핵화가 우선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1992년 남북이 약속한 비핵화 공동선언은 지켜져야 하며, 우리는 이를 바탕으로 북한과 대화, 교류를 확대하고 북한을 발전시키기 위한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6자회담을 통해 북핵 프로그램의 핵심 부분 폐기와 동시에 북한에게 확실한 안전보장을 제공하고 지원을 본격화하는 일괄타결, 즉 그랜드 바겐(Grand Bargain)을 추진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면서 "지금이야말로 한반도의 진정한 평화, 그리고 북한 스스로를 위해 북한이 결단을 내려야 할 때임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이날 유엔총회에는 북한 유엔 대표부 홍재룡 참사관이 참석해 이 대통령의 기조연설을 끝까지 지켜봐 눈길을 끌었다.
이 대통령은 이에 앞서 뉴욕의 한 호텔에서 열린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에서도 북핵 문제를 심도있게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후 주석에게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당시 북한 조문단과의 면담 내용을 소개하면서 "북한이 남북관계 협력을 원하며 언제든지 만나겠다는 뜻을 전해왔다"면서 "핵 문제 해결이 남북관계를 활발하게 만들기 위한 전제라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우리도 같은 입장이란 점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남북 문제에 대해선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대처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한 뒤, "'그랜드 바겐' 구상은 단계별로 조각조각 협상하는 것이 아니고 일괄적으로 북한의 체제 안전과 과감한 지원을 보장함으로써 북한을 안심시키고 핵을 포기시키는 방안"이라며 "중국과도 이 문제에 대해 더욱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후 주석은 이에 대해 "각국이 노력한다면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할 가능성도 여전히 있다고 생각한다"며 북핵 협상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후 주석은 다이빙궈 외교담당 국무위원의 방북 결과를 설명하면서 "전반적으로 북한이 미국과의 양자대화, 혹은 어떤 형식으로든 다자회담을 진행하려고 한다는 의사를 갖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각국의 노력 덕분에 북핵 문제가 상당히 완화됐다"면서 "북한이 한국, 미국과의 대화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후 주석은 아울러, G20체제의 제도화와 관련해 "중국은 G20정상회의의 정례적인 개최와 내년 한국의 G20회의 개최를 지지한다"며 "이를 위해 긴밀하게 협의하자"고 말했다.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날 한중 정상회담과 관련해 "후 주석 등 중국 측 참석자들이 이 대통령의 발언을 경청했으며, 중간중간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을 표시했다"고 전했다.
이 수석은 또, 후 주석의 북한 6자회담 복귀 가능성 발언에 대해 "북한이 다이빙궈 국무위원에게 말한 다자회담은 6자회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암시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