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배상익 기자 = 남북관계가 지난 8월 이후 호전, 악화 등 급변 조짐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대북 공식 입장과 사과 요구에 대한 태도조차 우왕좌왕하며 신속한 대처를 취하지 못해 비난이 일고 있다.
또한 임진강 참사와 관련해 최초 구조 신고가 알려진 것보다 1시간이나 더 빨랐으며, 소방당국과 경찰이 이 신고를 떠넘기며 늑장 대처를 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파문이 예상된다.
정부당국과 기관마다 되풀이되는 책임 회피와 늑장대응에 대한 변명과 주장은 더욱 가관이다. 임진강 실종사건과 관련, 첫 구조신고 시간을 놓고 실종자 가족과 경찰, 소방서가 엇갈린 주장을 하고 있다.
이번 참사는 북한의 무책임한 의도에 분노를 금 할길 없다. 그러나 이를 바라보는 국민들은 오히려 정부의 국가적 관리 능력부재와 공직기강해이, 총체적 부실에 심한 배신감에 억장이 무너진다.
실종자 가족들은 8일 오후 연천 왕징면사무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고 당일 경찰과 소방서가 임진강이 불어나 위험하다는 한 시민의 신고 전화를 묵살하고 다른 기관에 떠넘겼다고 주장했다.
실종자 가족들은 사고가 발생한 6일 오전 4시10분께 주민 최 모(56)씨가 이 같은 상황을 목격하고 112에 신고했으나 119로 전화하라는 말을 들었으며 다시 119에 전화를 걸자 왕징면사무소로, 또 마을이장에게 책임을 돌렸다고 밝혔다.
이어 "왕진면도 전화를 받지 않아 재차 119에 전화를 했지만 이장에게 전화할 것을 통보했고 결국 5시 40분이 되어서야 119가 현장에 출동했다"고 밝혔다.
최초 신고부터 119의 현장 출동까지 무려 1시간 30분 이상이나 걸렸다는 주장이다. 이와 함께 최초 신고 시간으로 알려졌던 오전 5시 15분보다 앞선 신고가 있었다는 또 다른 진술도 나왔다. 유족측은 곧 통화내역을 조사해 공개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연천경찰서는 최초 신고자와 연천서 112신고 녹음기록을 확인한 결과 6일 05:12분부터 2분30여 초간 통화한 후 112접수자가 신고자에게 '예 알았습니다'라고 답변했을 뿐 관할 떠넘기기를 한 사실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물론 면사무소까지, 모든 관계 당국이 신고 접수를 미루고 늑장 대응을 한 사실이 확인될 경우 파문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가운데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대책과 시스템, 지휘라인에 있는 책임자에 대한 언급은 없고 말단 공무원에 대한 수사에만 집중 된 것 아니가 하는 논란이 있어 또다시 되풀이 되는 사후약방문 논란이 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