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슈바이처 쌍천 이영춘 박사의 유품 884점이 군산시민의 품으로 돌아와 일반인들에게 공개될 예정이다.
군산시는 이영춘 박사의 아들인 이주운씨가 보관중이던 가구 및 유품 213점, 서적 469권, 사진 199장 등 총 884점의 유품을 시에 기증했다고 밝혔다.
기증한 유품으로는 농촌위생 연구소 설립 취지문 붓글씨 병풍(8폭), 당시 사용하던 직인과 손가방, 의사면허증, 책장 등 가구, 기증받은 각종 그림, 책상, 탁자 등은 물론 개정농촌위생연구소 연례보고서와 당시 찍었던 사진 등 역사적, 학술적 매우 가치가 큰 것 들이다.
군산시는 다음달 초에 유품 기증식을 가진 후 박사의 뜻을 기리기 위해 의료활동을 펼쳤던 가옥에 현재 소공원 조성 등 주변정비공사를 추진하고 있으며, 보수공사를 거쳐 내년 상반기에 이 유품들을 가칭 ‘쌍천 이영춘 기념관’으로 조성해 전시할 계획이다.
한편 평남 출신인 이영춘 박사는 세브란스 의전과 일본 유학을 거쳐 한국인 최초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해방 후 개정중앙병원을 설립, 의사로서 진료사업과 농어촌위생에 힘썼고, 사회사업가로 학교를 설립해 농어촌지역 주민 교육과 영아원을 설립, 한국의 슈바이처로 불리는 등 농민들의 건강을 돌보는데 평생을 바쳤다.
현재 도지정 유형문화재 제 200호로 지정된 이영춘 가옥은 일본강점기인 1920년 일본인 대지주 구마모토(熊本)가 별장으로 지은 것으로 프랑스인이 설계하고 일본인이 시공하였고, 건축 당시 서울의 총독 관저와 서로 잘 지으려고 경쟁했다는 일화가 전해지고 있으며,
외부형태는 유럽 양식을 띄며, 평면 구조는 일본식으로, 양식의 응접실과 한식의 온돌방이 결합된 한식, 양식, 일식의 복합 건축양식으로, 우리나라 근대 주거문화가 들어오는 양상을 보여주며 현재 TV드라마, 영화 촬영장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서 건물을 짓는데 처음으로 '미터(m)'법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건축사적 의미가 크며, 내부에는 이 박사가 쓰던 붓과 벼루 등 유품과 100년 안팎 된 고서화와 집기 등이 보존돼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