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수산물과 교육비가 급등하면서 소비자 물가가 1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라 서민 가계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특히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월 100만 배럴 감산 발표로 석유류 가격이 더 오를 전망이어서 물가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1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의 작황 부진과 석유류를 비롯한 국제 원자재 가격 불안, 교육비 인상 등의 영향으로 2월에 비해 1.0%가 오르며 4개월째 상승세를 지속했다.
전월 대비 물가상승률 1.0%는 작년 3월의 1.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또 작년 3월보다는 3.1%가 상승했고 올 들어 3월까지는 작년 동기에 비해 3.3%가 올라 정부의 3% 내외 물가 억제 목표 달성이 쉽지 않게 됐다.
분야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달보다 2.7%가 급등했고 개인서비스요금도 1.8%가 오른 것을 비롯해 석유류 0.6%, 공공서비스 0.7% 등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집세는 변화가 없었다.
주요 품목 중에는 닭고기(44.7%), 귤(22.2%), PVC창틀(14.5%), 달걀(11.2%), 돼지고기(10.2%), 감자(10.7%), 고속도통행료(6.9%) 등이 급등했다.
특히 납입금의 경우 국공립대 10.9%, 유치원 8.2%, 전문대 7.7%, 사립대 7.1%, 중.고교 4.5% 등의 상승률을 보였고 입시학원비는 2.8%가 올라 교육비가 물가 상승을 주도하는 모습이다.
반면 부추(-29.0%), 시금치(-18.8%), 미나리(-16.0%), 생화(-15.0%), 여행용 가방(-12.4%), 운동복(-3.9%), 등산용품(-3.3%) 등은 가격이 내렸다.
식료품 등 일상 생활에서 자주 구입하는 156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는 2월보다 1.6%, 작년 3월에 비해서는 3.8%가 각각 상승했다.
생선류, 채소류, 과실류가 포함되는 신선식품은 전달보다 2.6%, 작년 동월 대비 6.7%가 급등해 서민 가계의 주름살을 더욱 깊게 했다.
지역별로는 인천이 1.3%로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을 보였으며 대전과 광주 각 1.2%, 부산 1.1%, 서울과 울산 각 1.0%, 대구 0.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