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한미 주요기관 인터넷에 대한 디도스 공격과 관련해 이번 공격에 사용된 86개 IP를 확보해 추적하고 있으며, 이들 IP는 미국, 일본, 과테말라, 중국 등 16개국에 소재지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10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현재까지 이들 16개국에 북한은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했지만, 북한 또는 추종세력이 사이버테러를 감행한 것으로 추정했다고 정보위 여야 간사인 한나라당 정진섭 의원과 민주당 박영선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지난달 27일 미국주도의 '사이버스톰' 훈련과 관련해 조평통을 통한 비난 성명을 발표했고, 이번 공격대상이 보수적인 기관이었다는 점, 또 특정해커가 쓰는 수법 등으로 미뤄 북한 또는 추종세력의 공격으로 분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이외에도 북한 배후설을 추정한 기술적 정황 설명이 있었지만 양 간사는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의원들은 국정원이 지난 4일 공격징후를 포착했는데도 미국보다 조치가 늦어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과 또 7일 최초 공격이 탐지된 이후 주의경보령이 발령될 때까지 대략 8시간이 걸린 이유를 추궁했다.
이에 대해 국정원은 대책회의에 앞서 사이버 공격의 전파 경로 추적과 점검이 급했고, 또 백신 개발과 보급 조치 등을 한 뒤 실무회의를 여는 형태로 대응했다고 답했다고 한나라당 정진섭 의원은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