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29일 자신의 임기중에 대운하를 추진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29일 오전 KBS 1라디오, TBS 교통방송과 인기동영상 공유사이트 ‘유튜브'(YouTube) 등을 통해 전국에 방송된 제18차 정례 라디오.인터넷연설을 통해서지난 대선 핵심공약인 ‘한반도 대운하'는 "필요하단 믿음 변화없다 그러나 국론분열 우려 있어" 임기내 추진 포기를 선언했다.
대통령은 다만 4대강 살리기 사업은 필요하다며 이를 대운하로 더 이상 오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실제 이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대운하가 필요하다는 제 믿음에는 지금도 변화가 없다"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가 정치적 쟁점이 되어 국론을 분열시킬 위험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제18차 라디오·인터넷 연설을 국민들이 청와대 의견게시판에 올린 질문들에 답하는 형식으로 꾸미고,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대운하가 필요하다는 믿음에는 지금도 변화가 없다"며 "그것은 정치하기 오래전 민간 기업에 있을 때부터 생각해 왔던 것이고 실은 1996년 15대국회때 당시 정부에 운하는 꼭 해야 할 사업이라고 제안한 바 있으며 그래서 중심적인 공약으로 내세웠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제 임기내에는 추진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이 문제가 정치적 쟁점이 되어 국론을 분열시킬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한 대운하 사업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며 "사실 대운하의 핵심은 한강과 낙동강을 연결하는 것으로 우리 정부에서는 그걸 연결할 계획도 갖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은 "물도 풍부하게 확보하고 수질도 개선하고 생태 환경과 문화도 살리면서 국토의 젖줄인 강의 부가가치도 높이면, 투입되는 예산의 몇 십배 이상의 가치를 얻을 수 있다"며 "이 문제에 대해 더 이상 오해가 없으시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로써 현 정부 출범 이후 줄곧 논란의 대상이 됐던 대운하 사업이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됐으나 야권과 환경단체 등이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을 ‘대운하사업’을 위한 기초작업 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앞으로도 논란이 예상된다.
대운하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있는 상황에서 밀어붙이기식으로 강행할 경우 정치적 논쟁은 물론 국민적 반발을 초래 또다시 촛불정국에 이은 국론분열을 촉발 시킬 수 있다는 인식이 있어 결단을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