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멸종위기야생동물인 삵, 말똥가리, 맹꽁이 등 서식 확인
지난 15년간(1978~1993) 쓰레기 매립지로 사용되어 먼지, 악취, 파리가 많아 삼다도로 불리었던 난지도가 2002년 월드컵공원으로 조성된 후 서울 서쪽의 생태 거점공간으로서 훌륭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분야별로 포유류는 2000년 집쥐, 두더지 등 3종에서 고라니, 삵 등 8종으로, 양서·파충류는 청개구리, 누룩뱀 등 6종에서 쇠살모사, 맹꽁이 등 14종으로, 야생조류는 36종에서 55종으로, 육상곤충은 193종에서 322종으로 크게 증가 하였으며, 특히 난지연못과 난지천 조성 후 수서무척추동물은 48종, 어류는 14종이 새로 나타났다.
이중 법적보호종으로 CITES(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지정종인 왕새매 등 8종, 천연기념물인 솔부엉이 등 10종, 멸종위기야생동물인 삵, 맹꽁이 등 11종과 서울시지정 관리야생동·식물 통발, 왕잠자리 등 22종이 확인됐다.
과거 침출수와 매립가스가 분출되어 얕은 토양층과 심한 경사, 건조 등으로 생물서식환경이 매우 열악한 매립지사면에는 아까시나무와 버드나무를 중심으로 독특한 매립지 식생이 형성되어 있으나, 야생동·식물의 서식환경 개선을 위해 2004년부터 연차적으로 소규모 생물서식공간을 조성했다.
앞으로도 서울시 월드컵공원관리사업소에서는 지속적인 생태모니터링 실시, 난지한강공원과 월드컵공원으로 자유롭게 동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동물이동통로 설치, 하늘공원과 노을공원 야간 미개방, 습지 등 소규모 생물서식공간을 확대 조성하여, 월드컵공원을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세계적인 환경·생태 공원으로 만들기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계속해 나갈 계획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