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산업은행 직원 6명 중 1명이 억대 연봉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등 국책 은행의 억대 연봉자 비율이 시중 은행의 5배를 넘어 국민의 혈세를 출자해 설립한 이들 은행이 돈 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15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한나라당 김양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개 시중 은행과 6개 지방은행, 5개 특수은행 직원 11만9491명 중 1억원 이상 연봉을 받는 직원은 3697명으로 집계됐다. 은행원 100명 중 3.1명만이 직장인의 꿈인 억대 연봉자의 반열에 올라 있다.산업은행의 경우 전체 직원 2408명 중 406명(16.9%)이 1억원 이상의 연봉을 받아 18개 은행 중 단연 1위를 차지했다. 수출입은행은 642명의 직원 중 74명이 억대 연봉자로 비율이 11.5%에 달했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억대 연봉자 비율은 전체 3050명 중 480명으로 15.7%를 차지했다. 이에 비해 다른 국내 은행의 직원 11만6441명 중 억대 연봉자는 3217명으로 2.8%에 불과했다. 산업·수출입은행의 억대 연봉자 비율이 다른 은행의 5배를 넘는 것이다.특히 산업은행의 경우 높은 연봉과 과도한 복지 혜택으로 오랫동안 물의를 빚어왔음에도 억대 연봉자가 급속히 늘어나 개선 의지는 있는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업무 특성상 직원들의 평균 연령·직급이 높아 고액 연봉자의 비중이 크다”며 “최근 몇 년 간은 경영 성과에 따른 성과급 지급이 많아 연봉 상승률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