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남북공동선언 9주년 특별강연에서 현정부가 남북관계와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독재화하고 있다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연설을 놓고 정치권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청와대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국민 화합에 앞장서고 국론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야 할 전직 국가원수가 적절치 못한 발언으로 오히려 국민을 혼란스럽게 하고 분열시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청와대 수석 비서관 회의에서도 사회갈등을 치유하고 화합을 유도해야 할 전직 대통령이 선동을 조장하고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전했다.
이와함께 북한의 핵실험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퍼주기 지원에 따른 결과이고 6.15 선언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일이라며 김 전 대통령이 국외자처럼 논평하고 비난할 일이 아니라는 지적도 나왔다고 말했다.
더불어 김 전 대통령이 북한의 인권과 세습에 대해서는 침묵하면서 국민의 뜻에 따라 사상 최대 표차로 합법적으로 선출된 정부를 마치 독재정권인 것처럼 비판한 부분도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은 법치와 다수결인만큼 국회를 포기하고 길거리에 나가서 장외정치를 하는 야당에게 애정이 있다면 오히려 야당을 걱정하고 꾸짖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 대변인은 또 빈부격차는 앞선 정권에서 심화됐으며 현정부들어서는 오히려 완화되는 추세라고 반박했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도 12일 국회에서 열린 한나라당 주요 당직자 회의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이 독재자에게 아부하지 말고 모두 들고 일어나야 한다는 등 이명박 대통령의 퇴진을 부추기는 발언을 했다며 김 전 대통령은 대다수 국민이 동의하지 않는 발언을 그만하고 침묵을 지켜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또 장광근 사무총장은 경제 위기 극복에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국론 분열의 폐해를 걱정하는 말없는 다수를 독재자의 아부꾼으로 매도하는 발상은 과거 야당총재 시절의 2분법적 정치공학이라며, 전직 대통령이 경제 위기 극복에 대해 힘을 보태주지 못할 망정 국민 분열에 앞장서서는 안된다고 비판했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도 김 전 대통령은 독재를 말할 자격이 없다면서 김 전 대통령이 좌우대립을 선동한다고 말했고 김영삼 전 대통령도 성명을 내고 오늘의 안보 위기를 초래한 장본인이 김대중 전 대통령이라면서 틈만 나면 요설로 국민을 선동하는 것을 더이상 묵과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김유정 대변인은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억울한 죽음으로도 모자라 이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고언까지 저질발언으로 비하하고 있다"며 "결코 용서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유정 대변인은 "청와대와 한나라당은 김 전 대통령의 발씀 가운데 어디가 국민을 혼란스럽게 하고 분열시키는 대목인 지 정확하게 답하라"며 "개성공단과 민주주의 그리고 서민경제의 위기가 걱정이라면 언행의 저급함부터 개선하고 사죄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가 공식 회의 석상에서 전직 대통령을 김대중 씨라고 불러 기본적인 예의도 갖추지 않는 저급함을 보였다"며 "안 대표 역시 '안상수 씨'로 호칭해야한다"고 주장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