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500만의 종합 도시재생계획 ‘동북권 르네상스 프로젝트’발표
서울시는 2020년까지 18조원 투입, ‘신경제·문화 거점도시’로, 수도권 500만 명 수혜를 입는 동북권 대동맥인 중랑천 뱃길 조성, 문화와 레저가 어우러진 수변공간으로 개조 주민 숙원 교통인프라 대폭 확충. 공원·교육·문화 환경도 고품격으로 업그레이드 한다.
서울시는 동북권 지역을 서울의 경제·문화·산업 경쟁력을 선도하는 ‘신경제·문화 거점도시’로 재탄생시키기 위한 서울시 최초의 종합 도시재생계획인 '동북권르네상스 프로젝트'를 확정, 9일(화) 발표했다.
시는 2020년까지 총 18조원이 투입될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동북권을 관통하는 중랑천변을 경제·문화 거점으로 집중 육성하고 동서남북의 발전축을 따라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한편 역세권 등 기존 거점과 연계 개발함으로써 수변개발 활력을 동북권역 전체로 확산시킨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서울시는 도심재창조, 서남권르네상스에 이은 대형 종합발전비전인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그동안 소외돼 온 수도권 동북권 전반의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 서울의 경제·교육·문화산업 중심지로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서울시는 이번 동북권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통해 동북권의 대동맥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소극적으로 이용되던 중랑천을 사계절 깨끗한 물이 흐르는 뱃길, 수상레저, 체육, 공원·문화, 생태체험 공간이 어우러진 수변공간으로 대 개조한다
동북권은 성동·광진·동대문·중랑·성북·강북·도봉·노원구 등 8개구 350만 명과 구리, 남양주, 포천에 이르는 150만 명의 인구를 아우르고 있어 서울 4대 권역 중 인구규모가 가장 큰 지역으로서, 수도권 동북부 500만이 이번 프로젝트의 혜택을 받게 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동북권을 지역 발전을 견인·선도·촉진하는 중랑수경축·남북1축·남북2축 및 각 지역별 특성에 따라 관광·문화·산업·유통 등의 개발활력을 전파하는 동서 1·2·3·4축으로 나눠 기존 중심지와 신거점을 남북과 동서의 격자형 발전축으로 연결했다.
동북권의 지역 숙원인 교통인프라도 사통팔달로 획기적으로 확충된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청량리, 왕십리 등 주요 거점지역을 30분 내에 연결하는 경전철 4개소 35.84㎞를 개설하는 등 도로, 철도사업에 총 6조 975억 원을 투입, 지역발전 역량을 집중한다.
한편, 서울시는 이날 발표한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해 단계별로 액션플랜을 수립하고, 시 재정계획에 반영해 실행력을 갖추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