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9일 최근 대전에서 발생한 민주노총 주도의 불법폭력 시위와 관련, “수많은 시위대가 죽창을 휘두르는 장면이 전 세계에 보도돼 한국 이미지에 큰 손상을 입혔다”며 “글로벌 시대에 국가브랜드를 높이기 위해서 이런 후진성은 반드시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한국의 국가브랜드를 떨어뜨리는 3가지 요인이 폭력시위, 노사분쟁, 북핵문제로 조사된 바 있는데 우리 사회에 여전히 과격폭력 시위가 벌어지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고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경제가 조금 나아지고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고 해서 공직자들이 긴장의 끈을 늦추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오히려 구조조정과 공기업 개혁은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이 기회를 놓치면 우리의 국가 경쟁력은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기업에 대한 평가가 결코 형식적이 되어선 안 되며 실질적이고 철저하게 이행해야 한다”며 “그 결과 책임질 사람은 책임지도록 해야 한다”고 신상필벌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정부부처간 소통을 강조하면서, “부처이기주의가 있어선 안되며 각 부처간 협력을 더 철저하게 해 일의 성과가 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철저히 협의하고 토론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에너지 절약 문제도 지적하면서 조기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유가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일상생활에서 에너지 절약을 정착시켜야 한다. 그러려면 국민 전체가 이 문제를 깊이 인식해야 한다”면서 “기후변화와 에너지 절약은 초등학교 때부터 몸에 익힐 수 있도록 기초교육을 강화하라”고 관련 대책을 세울 것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광주광역시의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유치 신청과 관련, “오는 22일 최종 결정에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정부는 모든 지원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또 해외순방 후속조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지난 3월 남미 순방의 결과로 페루의 와이브로 계약이 성사됐듯이 카자흐스탄의 와이브로 사업도 민관이 합심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