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들어 63조원 급증↑, 정부 대응방안 검토
시중 부동자금이 4월을 기점으로 8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금융위기에 대한 긴급처방으로 유동성 공급을 크게 늘린데다 경기회복 기대감으로 각종 투자자금의 중간 기착지로서 단기 부동자금이 올해 들어서만 60조원 이상 급증했다.
18일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 관계당국에 따르면 4월말 기준 시중 단기성 수신은 811조3천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800조원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단기 부동자금은 금융위기 직전인 지난해 9월말에는 719조5천억원으로 이때 이후로 91조8천억원이 불어난 것으로 올해 들어 급격히 증가하면서 결국 800조원 선을 넘어섰다.
한국은행의 금융시장 동향 자료를 통해 단기 부동자금의 세부 내용을 보면 예금은행의 수시입출금식 예금은 지난해말 180조1천억원에서 4월말 192조3천억원으로 12조2천억원이나 늘었다.
정부가 준용하는 단기유동성은 금융감독원의 기준을 따른 것으로 실세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예금.6개월미만 정기예금.CD.RP.MMF.6개월미만 은행신탁.종금사의 발행어음과 CMA.증권사 고객예탁금 등을 포함한다.
3월 기준 M1(협의통화.평잔 기준)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3% 늘어나 2005년 8월(14.4%) 이후 최대 증가율을 나타냈다.
M1은 일반인이 수중에 갖고 있는 현금통화나 은행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 단기자금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지난해 금융위기 이후 최근 들어선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에 대한 투자를 염두에 두고 단기 자금시장으로 자금을 이동해놓고 시장을 관망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정부는 이런 단기 유동성이 조만간 '과잉'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고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앞으로 자산시장 급등 추세가 이어질 경우 문제가 되고 있는 지역을 투기지역으로 지정하거나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수 있다'고 전했다.
- TAG
-